AFP 통신 등 외신에 따르면, 중국은 13일 일본 다카이치 사나에 총리의 대만 관련 발언을 “악질적”이라고 규탄하며 즉각 철회할 것을 촉구했다.
베이징은 이를 거부할 경우 일본이 “모든 후과를 감당해야 한다”고 경고하며 한일 간 긴장이 고조되고 있다.
중국 외교부 대변인 린 젠(林劍)은 이날 정례 브리핑에서 “일본이 대만해협에 무력 개입을 감행한다면 이는 명백한 침략 행위”라며 “중국은 단호하게 대응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다카이치 총리의 발언이 1972년 한일 공동성명 정신을 심각하게 위반했다고 지적했다.
다카이치 총리는 지난 7일 국회 예산위원회에서 중국의 대만 공격 시 이를 “일본 존립 위기 사태”로 규정하고 집단적 자위권 행사 가능성을 시사했다.
이는 일본 총리로서는 처음으로 대만 문제를 직접적으로 안보 위협으로 연결한 발언으로, 중국의 강한 반발을 불렀다.
린 대변인은 “일본은 즉시 중국 내정에 간섭하는 행위를 중단하라”며 “불난 데 기름 붓는 자는 화상을 입을 것”이라고 경고했다.
그는 최근 오사카 중국 총영사 슈에 지안(薛剣)의 엑스(X, 구 트위터) 포스트를 방어하며 “이는 다카이치 총리의 잘못되고 위험한 발언에 대한 반응”이라고 해명했다.
◆ 오사카 총영사 극단적 포스트, 삭제 후 양국 공방 격화
오사카 총영사 슈에 지안은 지난 8일 엑스(X)에 다카이치 총리의 발언 기사를 공유하며 “끼어드는 더러운 목은 한순간의 망설임 없이 베어버릴 수밖에 없다”는 글을 자국어(일본어)로 올렸다.
이 포스트는 곧 삭제됐으나, 일본 정부는 “외교관으로서 극히 부적절한 언동”이라며 중국에 강력 항의했다.
슈에 총영사는 이후에도 “대만 문제는 중국 내정이며 일본이 끼어들 자리가 아니다”는 취지의 글을 연이어 게시하며 논란을 키웠다.
중국 외교부는 이를 “일본의 분열 시도와 무력 개입 고취에 대한 정당한 비판”으로 규정했으나, 일본 측은 “위협적인 표현”이라며 삭제를 요구했다.
베이징은 이 사건을 “일본의 역사적 책임을 돌아보게 하는 계기”로 삼아, 다카이치 총리가 “최악의 시나리오”를 가정했다고 해명한 점도 비판했다.
AFP 통신은 이 포스트가 중국 내 반일 감정을 자극하며 양국 관계에 “심각한 타격”을 줄 수 있다고 분석했다.
◆ 중일 관계 배경...1949년 분쟁부터 최근 정상회담까지
1949년 중국 내전으로 공산당과 국민당이 분리된 이래, 중국은 대만을 “분리된 영토”로 간주하며 무력 통일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고 있다.
반면 일본은 대만해협 안정을 자국 안보와 직결된 문제로 보고, 미국과의 동맹을 강화해왔다.
지난달 말 한국에서 열린 다카이치 총리와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의 첫 회담에서는 “전략적 상호 이익” 관계 촉진에 합의했으나, 이번 대만 발언으로 균열이 드러났다.
다카이치 총리는 지난 11일 “이전 정부 입장과 모순되지 않는다”며 발언을 철회하지 않았으나, 일본 내 여론은 “중국 도발 자제”를 촉구하고 있다.
◆ 일본의 대응...G7 외무장관 회의서 중국 압박
일본 모테기 토시미쓰(茂木敏充) 외무장관은 캐나다에서 열린 G7 외무장관 회의(11일)에서 “베이징이 슈에 총영사 발언을 적절히 처리할 것”을 촉구했다.
그는 “이 사건이 한일 관계 전체 방향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일본 정부는 대만 문제를 “국제 사회 안정과 직결”된 사안으로 규정하며, 미국과 협력을 강화할 방침이다.
그러나 중국의 강경 태도로 인해 양국 간 경제·안보 협력이 위축될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린 젠 대변인은 브리핑을 마무지며 “일본은 자신의 오류를 반성하고, 대만 문제에서 손 떼라”고 재차 요구했다.
AFP 통신은 이번 갈등이 “아시아 태평양 지역 긴장 고조의 신호탄”이 될 수 있다고 우려했다.
출처: China urges Japan PM Takaichi to immediately retract her remarks on Taiwa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