엑스(X, 구 트위터) 캡처


북한 주민들에게 외부 세계에 대한 신뢰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 민간 대북인터넷방송 코리아 인터넷 스튜디오(KIS, Korea Internet Studio)가 지난 11일 공식 출범했다.

KIS 관계자는 이날 서울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출범 기념식에서 "인터넷과 디지털 기술을 활용하여 대북 미디어의 새로운 시대를 열 것"이라고 포부를 밝혔다.

또한 이들은 북한 주민이 스스로 세상을 이해하고 판단하도록 정확하고 신뢰할 만한 정보를 전달하는 것을 주요 사명으로 삼는다고 설명했다.

이번 출범은 미국의 소리(VOA, Voice of America)와 자유아시아방송(RFA, Radio Free Asia)을 비롯한 한미 정부의 대북 방송이 중단된 상황에서 북한 주민들을 위한 대안적 정보 접근 통로를 마련하려는 취지다.

KIS는 자체 개발한 애플리케이션과 더불어 유튜브(YouTube), 페이스북(Facebook), 중국의 더우인(Douyin, 틱톡(TikTok)의 중국 내 버전) 등 다양한 인터넷 플랫폼을 활용하여 콘텐츠를 송출한다.

이에 따라, 초기에는 인터넷 사용이 가능한 해외 체류 북한 주민을 주요 대상층으로 설정했다.

이영현 KIS 대표는 "제작된 영상 콘텐츠를 총 11개 글로벌 영상 플랫폼에 업로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그는 전 세계 약 40개국에 20만 명에서 30만 명으로 추산되는 해외 북한 주민들의 정보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이러한 다각적인 플랫폼 전략을 구사한다고 설명했다.

이 대표는 또한 장기적인 관점에서 "북한이 언젠가는 인터넷을 보급할 것이라고 믿고 있으며, 그때를 대비해 방송국을 지속 운영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출범 기념식에 참석한 홍용표 전 통일부 장관은 축사를 통해 KIS의 발족을 격려했다.

홍 전 장관은 대북 인터넷 방송 출범이 단순한 대체가 아닌, "중단되어서는 안 되었던 대북 정보 기능의 회복"이라고 평가했다.

그는 최근 한 독일 전문가로부터 "정보를 차단하는 선택이 평화를 가져왔던 적이 있느냐"는 질문을 받은 일화를 소개하며, 이 질문을 "무겁게 받아들여야 한다"고 지적했다.

홍 전 장관은 진정한 평화는 침묵을 통해서는 유지될 수 없으며, "위협을 줄이기 위해 목소리를 낮출 수는 있어도, 진실을 끄는 버튼을 눌러서는 안 된다"고 강조하며 외부 정보의 중요성을 역설했다.

북한 주민들과 협력하여 내부 상황을 취재해 온 아시아프레스의 이시마루 지로 대표는 "북한은 오랜 기간 세계 최강의 정보통제 국가였으나, 팬데믹(Pandemic)이 발생한 2020년부터의 정보 고갈은 비상사태에 해당한다"고 우려를 표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