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문화도시 비전 및 목표.문화체육관광부

문화체육관광부(장관 유인촌, 이하 문체부)는 지역 중심 문화균형발전을 선도할 ‘대한민국 문화도시’로 6개 권역, 13개 도시를 최종 지정했다.

유인촌 장관은 26일 국립중앙박물관에서 ‘대한민국 문화도시’ 지자체장을 만나 향후 성공적인 사업 추진 방안을 논의한다.

문체부는 2023년 12월 조성계획을 승인받은 13개 지역에 올해 각각 예산 2억 원을 지원해 예비사업을 추진하도록 하고, 두 차례의 컨설팅과 지자체 담당자 연수회 등을 통해 각 도시의 조성계획을 보완했다.

이후 2024년 예비사업 추진 실적과 조성계획에 대한 현장 및 발표 평가를 진행하고, 권역별 문화 선도도시 육성이라는 정책 목표를 고려해 13개 도시를 모두 ‘대한민국 문화도시’로 최종 지정하기로 했다.

문화체육관광부


‘대한민국 문화도시’로 지정된 지자체는 향후 3년(2025~2027년)간 각자의 조성계획을 바탕으로 사업을 추진한다.

지자체는 지역별 200억 원, 총 2천600억 원(국비 1천300억 원, 지방비 1천300억 원)을 투입하고, 문체부는 전담 컨설팅과 연례 성과평가를 통해 사업 성과를 관리한다. 이를 통해 문화 향유·참여자 수 2천만 명, 동네문화공간 2만 곳 활용 및 조성, 약 1조 원의 경제적 파급효과와 3천 명의 일자리 창출을 목표로 한다.

유인촌 장관은 "지역의 고유한 문화는 주민이 지역에 살게 하는 자부심이자, 사람들을 지역으로 모이게 하는 힘이다"며 "이번 ‘대한민국 문화도시’ 최종 지정된 13곳은 지역의 문화자원을 바탕으로 현실적이고 구체적인 조성계획을 세웠는지, 향후 지원이 종료된 이후에도 사업을 이어갈 수 있는 지속 가능성을 확보했는지 지역을 넘어 인근 권역의 총체적 발전에 도움을 줄 수 있는지를 종합적으로 고려한 결과다"고 했다.

이어 "문체부는 ‘대한민국 문화도시’가 계획대로 조성될 수 있도록 끝까지 책임질 계획이다"며 "‘문화로 도시 전체를 바꾸는 새로운 모델’을 제시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