엑스(X, 구 트위터) 캡처


중국이 북한과의 협력 메시지를 재차 발신하며 밀착 관계를 강화하는 움직임을 보였다.

왕야쥔(Wang Yajun) 중국대사는 지난 19일 북한 김일성종합대학을 방문하여 학교 시설을 둘러보고 교육 협력 강화를 강조했다. 20일 주북 중국대사관에 따르면, 왕 대사는 이번 방문을 통해 북중 관계의 중요한 한 축인 교육 분야에서 양국 간 교류 확대를 촉구했다.

왕 대사는 김일성대 혁명사적관과 전자과학도서관, 수영장, 유학생 교육동 등을 시찰하며 학교 곳곳을 면밀히 살폈다.

이 자리에서 그는 "교육 협력은 중조(중북) 관계의 중요한 구성 부분으로 김일성종합대학이 중조 대학 교류·협력의 선두에서 가고 있다"고 평가했다. 이어 "양국 대학이 더욱 교류·협력을 강화하고 양국 관계 발전을 촉진하기 위해 더 많은 우호 사절을 육성하기를 희망한다"고 언급하며, 교육을 통한 장기적인 관계 발전을 기대하는 모습을 보였다.

왕 대사는 특히 중문과 강의실을 방문해 40여명의 북한 학생과 인사를 나누고, 김일성대에 재학 중인 중국 유학생들과도 만나 격려했다.

박학철(김일성대 1부총장)은 조선(북한) 역대 지도자의 관심 속에 김일성종합대학이 주체 교육 이념을 관철하는 최고의 전당이 됐으며, '세계 일류 대학'을 만들겠다는 목표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밝혔다.

박학철은 또한 김일성대가 중국 20여개 대학과 우호 교류를 진행하고 있음을 언급하며, "양국이 교육 교류·협력을 계속 강화하여 조중(북중) 우호 촉진에 긍정적 공헌을 하기를 희망한다"고 덧붙였다고 주북 중국대사관은 전했다.

주북 중국대사관은 북한 김일성대가 1946년 10월 1일 개교했으며, 현재 22개 과와 63개 연구소, 256개 학술센터를 보유하고 있다고 소개했다.

이와 함께 교원 3천600여명과 학생 2만여명이 재직 및 재학 중이라고 덧붙였다.

특히 중국 베이징(Beijing)대, 난징(Nanjing)대, 푸단(Fudan)대, 지린(Jilin)대, 옌볜(Yanbian)대 등 유수의 중국 대학들과 우호 교류 관계를 수립한 상태라고도 밝혔다.

이번 왕 대사의 방문은 교육 협력을 매개로 북중 관계의 외연을 넓히고 상호 의존도를 심화하려는 중국의 의지를 보여주는 것으로 풀이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