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직 정보·외교·안보 관료 340여 명으로 이뤄진 단체 ‘더 스테디 스테이트(The Steady State)’가 최근 미 국가정보국(ODNI) 산하 비공개 조직의 존재 의혹을 제기하며 의회 조사를 촉구했다.
이 조직은 ‘국가정보국장실(ODNI)’ 내에 설치된 ‘국가기관 무기화 실무그룹(Interagency Weaponization Working Group, IWWG)’으로, 트럼프 대통령이 ‘딥스테이트(Deep State)’라 규정한 관료 및 정적들을 표적으로 삼고 있다는 주장이 나왔다.
“국내 보복 메커니즘, 사실상 미국판 KGB”
이 단체는 의회에 보낸 서한에서 “IWWG의 임무는 본질적으로 ‘딥스테이트’를 공격하는 것”이라며 “이는 미국 정보기관을 국내 감시 및 보복 메커니즘으로 변질시켜, 사실상 ‘미국판 KGB’로 만들 수 있다”고 경고했다.
보도에 따르면 이 그룹의 논의 대상에는 제임스 코미 전 FBI 국장, 앤서니 파우치 전 백악관 보건 자문관, 백신 의무화를 지시한 군 지휘관, 헌터 바이든 등이 포함된 것으로 알려졌다.
익명을 요청한 전직 정보 당국자는 “이 작업반은 트럼프 대통령이 적대시한 인물들을 ‘국가 위협’으로 분류하려 했다”고 전했다.
Gabbard 국장, “오바마 정부 반역 음모 있었다” 주장 논란
국가정보국을 이끌고 있는 툴시 개버드 국장은 앞서 오바마 행정부 인사들이 2016년 대선에서 트럼프 당선을 막기 위해 음모를 꾸몄다고 발언해 논란을 일으킨 바 있다.
이후 폭스뉴스 디지털(Fox News Digital)은 “ODNI, 법무부, FBI, CIA 등 여러 기관이 IWWG에 참여하고 있다”고 보도해 의혹에 무게를 더했다.
미국 16대 정보기관을 총괄하는 국가정보국장 툴시 개버드는 미국 공산당 소속 잭슨 힝클과 각별한 사이다. 또한 러시아 푸틴, 시리아 아사드를 옹호하거나 그들이 퍼뜨리는 가짜뉴스를 퍼뜨리는 등 국가정보국장으로서의 자질이 심각히 우려된다. 한반도 문제에서도 그녀는 유엔 북한대표부 박철이 배후 조종한 미국내 골수 종북 반미 그룹 위민크로스 DMZ 크리스틴 안 등과 견해를 같이한다고 공개적으로 밝힌다. 크리스틴 안은 윤석열 정부에서 대한민국 입국 금지를 시킬 정도로 위험한 종북인사다. / 사진 = 엑스 펌
의회, 비공개 청문회 및 자료 제출 요구
The Steady State는 상·하원 정보위원회, 사법위원회, 군사위원회 소속 양당 지도부에 서한을 보내 IWWG의 존재 및 활동 범위에 대한 비공개 청문회를 요구했다.
또한 개버드 국장과 팸 본디 법무장관을 소환해 모든 문서·통신 기록 및 회원 명단을 제출하도록 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이 조직이 실제로 존재한다면 정보기관의 국내 정치 개입 금지 원칙을 정면으로 위반한다는 것이 단체의 입장이다.
“정보기관 중립성 붕괴 우려”… 전문가들 경고
정치·법률 전문가들은 이번 논란이 “정보기관의 중립성과 헌정 질서의 근간을 위협하는 사건”이라고 지적했다.
전 CIA 분석관 앨런 베넷은 SpyTalk와의 인터뷰에서 “정보기관이 정치적 보복 수단으로 악용되면 민주주의의 핵심인 권력 견제 체계가 무너진다”고 경고했다.
공개적으로 미국 공산주의자, 재미 종북 세력, 시리아 독재자 아사드 및 러시아 독재자 푸틴 등과 어울리거나 그들을 옹호하는 툴시 개버드 미국 국가정보국장에 대해 미국 안보 전문가 대부분은 "국가안보재앙"이라 부르며 심히 우려한다. / 사진 = 서브스택 캡처
보수 언론 일부는 IWWG의 존재를 옹호하며 “내부 반역 행위를 식별하기 위한 정당한 프로그램”이라고 주장했으나, 중도 및 진보 언론은 이를 “국가기관의 정치 무기화”로 비판했다.
종합적으로 이번 사건은 미 정보기관의 정치적 중립성에 대한 근본적 논의를 재점화시켰다.
전직 관료들은 “정보기관이 국가 안보가 아닌 정치적 보복을 목적으로 활용될 경우, 그 결과는 미국판 KGB의 등장”이라며 의회의 신속한 조치를 촉구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