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년 만난 트럼프 미국 대통령(왼쪽)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사진=연합뉴스)

미국과 중국이 100% 이상의 초고율 관세로 벌여온 치열한 관세전쟁에서 휴전을 선언하며 협상 국면으로 전환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의 자존심 대결이 양국 경제에 막대한 부담을 안기자, 미국은 관세율을 145%에서 30%로, 중국은 125%에서 10%로 낮추며 90일간 시한부 휴전에 합의했다.

이번 결정은 글로벌 경제의 불확실성을 줄이고, 두 정상의 정치적 득실에 관심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지난 4월 트럼프 대통령은 중국산 제품에 145% 관세를 부과하며 관세전쟁을 재점화했다.

중국은 125% 보복관세로 즉각 대응하며 양국은 사실상 무역 단절 상태에 돌입했다.

이는 두 정상이 자국민 앞에서 약한 모습을 보이지 않으려는 의지와 상대를 굴복시키려는 전략이 얽힌 결과였다.

그러나 초고율 관세는 양국 경제에 즉각적인 충격을 안겼다.

미국은 2025년 1분기 GDP가 0.3% 감소하고, 3월 무역수지 적자가 1천405억 달러로 전월 대비 14% 급증했다.

중국은 수출 중심 지역인 광둥성에서 제조업체들이 공장 가동을 중단하며 경제 성장률 저하 위기를 맞았다.

미국은 관세 부과 전 중국산 저가 제품 수입 급증으로 무역적자가 확대됐으며, 대체 수입원 미확보로 주요 마트의 진열대가 비어갈 위기에 처했다. 이는 트럼프 대통령의 인플레이션 억제 정책에 악재로 작용했다. 특히, 중국의 대미 희토류 수출 통제는 미국의 공급망 약점을 적나라하게 드러냈다.

중국은 내수와 부동산 침체 속에서 수출 타격으로 경제의 핵심 동력이 흔들렸다. 중국 웨카이증권은 미국의 60% 관세 인상이 중국 GDP 성장률을 1.4%포인트 떨어뜨릴 것이라고 경고했으나, 실제 125% 관세는 더 큰 충격을 초래했다. 중국무역촉진협회는 지난 4월 28일 수출기업의 50%가 미국 사업을 축소할 상황이라고 밝혔다.

양국은 5월 10~11일 스위스 제네바(중립 장소)에서 고위급 대화를 통해 관세율을 대폭 인하하고 90일간 후속 협상 시간을 확보했다. 중립 장소에서의 협상은 어느 한쪽이 굴복한 인상을 피하려는 신중한 선택이었다.

양국 정상의 관세 인하는 자국 경제 부담을 줄이는 실용적 접근으로 평가된다.

미국은 4월 9일 상호관세를 발표한 지 13시간 만에 90일 유예를 결정하며 숨고르기에 들어갔지만, 중국과의 초고율 관세는 경제에 지속적인 그늘을 드리웠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번 휴전을 통해 2018년 1단계 미중 무역합의(2천억 달러 미국산 제품 구매)에 이은 2차 합의의 발판을 마련했다. 이는 집권 초기에 협상 판을 깔아 트럼프 2기의 주요 성과로 기록될 가능성이 크다. 그러나 중국의 희토류 수출 통제에 흔들린 점은 미국의 준비 부족을 드러냈다.

트럼프는 중국 무역적자를 바로잡겠다며 관세를 145%까지 올렸으나, 한 달 만에 30%로 낮추며 협상력 약점을 노출했다.

미국 경제 전문가 존 스미스는 12일(현지시간) 폭스뉴스에서 “트럼프의 강경책은 중국의 저항에 부딪혀 한계가 드러났다”고 지적했다.

시진핑 주석은 미국의 공세에 맞서 희토류 통제와 WTO 비판으로 강경 대응하며 “굴하지 않는 지도자” 이미지를 공고히 했다.

중국 관영 매체는 “미국과의 투쟁 승리” 서사를 통해 체제 결속을 다졌다.

중국 당국은 대체 판로 지원, 국부펀드 투입, 금리 인하로 경제를 떠받쳤으나, 시 주석의 기대(유럽 등 국제 연대)는 좌절됐다.

미국 우선주의의 국제적 영향력 앞에서 중국은 고립을 경험했다. 베이징 소재 경제학자 리웨이민은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5월 12일)에서 “시진핑의 강경책은 경제를 더 어렵게 만들었고, 휴전은 불가피했다”고 밝혔다.

이번 휴전으로 양국은 경제 충격을 완화하며 협상 테이블로 돌아왔다. 트럼프는 중국의 미국산 제품 대량 수입과 시장 개방을 목표로 협상을 이어가고, 시진핑은 국제사회에서의 입지 강화를 노린다.

그러나 두 정상의 자존심 싸움은 글로벌 경제에 여전히 불확실성을 드리우고 있다. 세계는 이번 휴전이 경제 안정으로 이어질지, 또 다른 대결의 서막일지 주목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