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르스크 지역서 훈련 중인 북한군 병사.(사진=연합뉴스)

러시아가 북한군의 러시아군 지원 파병 사실을 부인하다가 최근 북한 병사들의 군사활동 영상을 주요 매체에 공개하며 양국 간 우호 관계를 선전하고 있다고 미 월스트리트저널(WSJ)이 11일 보도했다.

러시아 국영방송은 러시아 남서부 쿠르스크에 파병된 북한 병사들이 러시아 노래 ‘카추샤’를 번역해 부르는 장면을 뉴스 프로그램에서 방영했다.

한 러시아 군인은 북한군이 뛰어난 체력과 러시아어 학습 능력을 갖췄으며 훌륭한 저격수라고 칭찬했다.

러시아는 북한군을 위해 간장, 고춧가루, 두부를 식단에 제공하고, 북한 병사들은 휴대전화로 러시아 영화를 보며 시간을 보낸다고 WSJ은 전했다.

러시아 관영 로시스카야 가제타는 러시아군과 북한군이 러시아 국기와 소련 깃발을 흔드는 모습을 보도했으며, 타스 통신은 북한군이 소총과 유탄 발사기를 들고 들판을 달리는 영상을 공개했다.

조선중앙통신은 알렉산드르 마체고라 북한 주재 러시아 대사가 지난 8일 쿠르스크에 북한군 기념탑 건설과 마을 명칭 변경 계획을 밝혔다고 보도했다.

전문가들은 이러한 영상이 대부분 연출된 선전으로 평가한다.

크리스 먼데이 동서대 교수는 WSJ에 “북한군을 러시아의 ‘전쟁 형제’로 묘사하려는 계산된 캠페인”이라고 지적했다.

WSJ은 “모스크바와 평양은 수개월간 북한군 파병을 비밀에 부쳤으나, 이제 전시 동맹을 대대적으로 선전하며 양국 관계를 장밋빛으로 그리고 있다”고 분석했다.

러시아와 북한의 군사적 밀착은 국제사회의 우려를 키우고 있다.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을 지원하는 북한의 파병 행태는 유엔 안보리 결의 위반 논란을 낳으며, 양국 동맹의 전시 과시는 지역 안정에 새로운 위협으로 떠오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