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해외 동포가 최근 글로벌 핫이슈로 떠오른 미국 터닝포인트USA 창립자 찰리 커크 암살을 두고 미국 DSA(미국 민주 사회주의자 협회) 및 한국 및 미국 민주당 지도부 및 강성 노조 관련 의혹을 제기해 파문이 일고 있다.

익명의 해외 동포 명의로 작성된 이 글은 관련 내용을 상세히 조사해 DSA 조직 배경부터 미국 내 반미종북, 반트럼프, 반이스라엘 친팔레스타인 과격 시위 현황, 최근 커크 암살 사건을 시계열 순으로 정리하고, 한국 및 미국 민주당에서 추진하는 한반도 종전선언 등 한반도 평화법안의 위험성에 대해 강력히 경고했다.

해당 내용은 미국 워싱턴 씽크탱크 관계자 및 백악관, FBI, CIA, 친트럼프 그룹 등에도 다양한 루트를 통해 전달되고 있으며, 현재 미국 및 유럽, 한국 등 자유 국가 상당수에서 공산주의에 맞서 행동을 촉구한 찰리 커크 추모 열기가 대규모 시위로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특히 미국 정보 당국의 관심을 끌 것으로 예상된다.

토요일 수만 명의 영국 우파가 런던에 모여 "Unite the Kingdom" 집회를 개최했으며, 시위대 일부는 한국에 다녀간 직후 유타 주 대학에서 암살된 미국 보수주의 활동가 찰리 커크의 사진과 현수막을 들고 추모했다. 이러한 움직음은 서구 각국에서 폭발적으로 전개되고 있으며, 냉전 해체 후 서구를 잠식해온 중국 공산당 자본과 각종 음모론의 진원지인 푸틴 러시아 전체주의 체제, 우크라이나 전쟁에 가담해 유럽인 학살에 동참 중인 북한 김정은 독재 및 도를 넘은 무슬림 및 중국 조선족 등 불법 난민에 대한 과도한 특혜 반대와도 맥을 같이 하고 있다.


한국 정부 여당 역시 한미관계가 중요한 변곡점을 맞고 있는 이때, 이러한 국내외 의혹 제기에 대비해 한점 오해가 없도록 차제에 북한이나 중국공산당, 러시아나 친팔레스타인 테러 조직과 연계된 지지세력에 대한 입장을 분명히 밝혀야 할 것이다.

아울러 이재명 정부는 무의미한 정쟁과 대결이 아니라 여야가 힘을 모아 국익에 도움이 되는 방향으로 지혜를 모아야 할 것이다. 특히 여전히 북한 김정은 세습 독재 및 전범 푸틴, 시진핑 중국 공산당을 추종하며 이해관계를 같이 하는 세력과는 확실하게 선을 그어야 할 것이다.

한 네티즌이 정리한 북한 김일성이 명예위원장으로 있는 전평(1945년 출범, 조선노동조합전국평의회의 줄임말)과 한국 민주노총, 전교조 및 언론노조의 상관 관계 도표

민주노총이 소셜 계정 엑스(X)에 직접 올린 북한 김일성이 명예위원장으로 있는 '전평' 정신을 계승하겠다는 공개 광고. 민주노총 산하에는 금속노조와 언론노조, 전교조 등 거의 사회 전분야에 걸쳐 막강한 영향력을 행사하는 노조가 가입되어 있다. 이들은 2016년 가짜뉴스 마녀사냥을 통한 국민적 오해를 기반으로 박근혜 대통령 탄핵 촛불시위를 전개했으며, 2024년 윤석열 대통령의 계엄을 내란으로 규정하고 문재인 및 이재명 정권 창출에 크게 기여했다. 2025년 현재 한국사회 전반이 북한 김일성을 추종하는 세력이 좌지우지하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다음은 프리덤조선이 입수한 관련 제보 전문이다.

■ 찰리 커크 암살과 DSA(미국민주사회주의자협회), 그리고 한미민주당지도부/노조 관련 의혹 ■

2025년 9월 10일, 유타에서 열린 토론 도중 정치 암살로 사망한 찰리 커크 사건을 둘러싸고 DSA(Democratic Socialists of America) 와 해외 조직, 특히 한국 세력과의 연관성이 제기되고 있다. FBI 는 이범인과 관련된 외국정보 일부를 확보했다고 보도했다. 사건 이틀 뒤 체포된 22세 범인 타일러 로빈슨이 DSA 조직과 연결된 인물로 드러나면서, 이번 사건의 배후에 대한 파장이 커지고 있다.

본 글은 지금까지 공개된 다수의 보도와 자료를 토대로 사건 전개를 시간 순서대로 정리하고, 한미 양국을 둘러싼 큰 그림을 조명하고자 한다.

1. DSA 조직 배경

DSA는 1980년대 미국에서 결성된 최대 규모의 좌파 성향 사회운동 조직으로, 극좌와 소프트 좌파가 공존하며 청소년 그룹도 운영한다. 이들은 반이스라엘·친팔레스타인 노선을 표방하며, 이란의 지원을 바탕으로 팔레스타인 저항을 지지하고 이스라엘 공격을 옹호해왔다. 현재 약 8만 명의 회원이 미국 50개 주 전역에 분포해 있으며, DSA International 이라는 해외 지부 조직도 운영한다.

2. 사건 전개 연표

1). 2022.1.19 – DSA International Centre 성명

●트럼프 정부가 내린 북한 여행 금지 해제를 바이든 정부에 요구
●대북 제재 철회 촉구
●한국전쟁 종식 및 평화협정 체결 주장

2). 2023.6 – 오마이뉴스 보도

●윤석열 대통령 하버드대 방문 당시, 매사추세츠 DSA 산하 Working Mass 소속 회원들(일부 한국인 포함)이 시위
●구호: “노조파괴자 윤석열”, “전쟁광 윤석열”, “노조탄압 중단하라”

3). 2024.12.9 – DSA 시애틀 지부 성명

●윤석열 대통령의 비상계엄 선포를 비난하며 반체제 세력 봉기를 선동
●구호: “윤석열 탄핵하라”, “윤석열 사임시켜라”

4). 2025.1~3 – 한국 내 세계로 교회 손현보 목사 ‘Save Korea’ 집회

●동성애 반대, 윤석열 탄핵 반대 집회 전개 (한미동맹 강조, 반공산주의 노선)

5) 2025년 2월 3일

더불어 민주당 이재명 측근 박선원 문OO 김OO 등이 주도하는 트럼프 노벨 평화상 후보 추천

6) 2025년 2월 26일 ㅡ 한반도 종전선언 재발의

미국 민주당 브래드셔면, 미국 동포 KAPAC (미국미주 참여 포럼 Korean American Public Act Committee) 의장 최광철, 민주당 앤디 킴 상원의 주도

7). 2025.5 – 부산 선관위 손현보 목사 고발

부산 검찰의 손현보 목사 교회 압수수색 (부산 교육감 보궐선거 개입 혐의: 진보후보가 보수후보보다 사전투표를 3배 많이 받음 )

8). 2025.6.3 – 한국 조기 대선 실시
이재명 당선, 부정선거 의혹 제기 (사전투표에서 보수 김문수 후보보다 3배 많이 받음)

9) 2025년 7월 25일 ㅡ이재명 외교안보 팀 최광철 주도로 브래드 셔먼 초청 종전선언평화협정로드맵 등 반트럼프 행사에 더불어 민주당 소속 의원 다수 참석

10). 2025.7.31 – 뉴욕 맨해튼 반트럼프 시위
한국 강성 노조와 이재명 정권 핵심 관계자 친인척 K씨 등이 주도하는 촛불연대 주관

11). 2025.8.18 - 최광철 의장의 KAPAC 내사
이 단체의 미국 FARA (Foreign Agents Registration Act) 법 위반과 외국인 대리인등록법위반. 8년간 반 면세 단체로 연방법위반으로 연방경찰 내사 착수

12). 2025.8.25 – 한미 양자관세 협상 회담 트럼프 발언
한미 정상회담 전, 소셜미디어에서 “한국에서 숙청과 혁명이 벌어지고 있다, 그런 나라와는 비즈니스 불가” 언급

13). 2025.8.31 – 위성락 안보실장 발언
“트럼프 특검 발언 배후에 극우 세력 개입 가능성, 파악 후 대응” 발표

14). 2025.9.2 – 랍 메코이 목사 방한
●손현보 목사 교회 방문, 찰리 커크가 트럼프에게 한국 내 상황을 보고했다고 언급
●한국 정부의 기독교 탄압 심각성 경고

15). 2025.9.4 – 손현보 목사 구속
선거법 위반 혐의로 구속영장 청구 및 체포
그외 여러 대형 교회 압수 수색 및 다양한 압박

16). 2025.9.5~6 – 트럼프 최측근 젊은 보수운동가 찰리 커크 방한
“한국의 자유운동은 전 세계에 파급력을 미칠 것” 발언

17). 2025.9.8 – 미국 이민세관단속국(ICE) 조지아 공장 급습
조지아 현대차 공장에서 불법 체류 노동자 300명 적발. 다수 노조 출신으로 보도

18). 2025 9.9 - 재외 동포 신임 동포청장에 김경협 임명
전남 장흥 출신 민주당 의원으로, 대학생 시절 가장 종북성이 농후한 운동권 조직 중 하나인 삼민투 출신으로 구속되어 2년 형을 살았고, 이후 금속노조(민노총에서도 가장 강성)에서 활동. 21대 국회에서 1호법안으로 한반도종전선언 촉구 결의안을 발의

19). 2025.9.10 – 찰리 커크 암살
트럼프 측근이자 보수 우파 차세대 지도자로 주목받던 32세 커크, 유타 대학 토론회 도중 피격 사망

20 ). 2025.9.13 – 범인 체포
22세 타일러 로빈슨 검거, DSA와 관련이 있다는 의혹 국내외 소셜 미디어에 급속도로 퍼짐

21). 2025.9.14 – 추가 윤석열 측근 탄압
구글코리아, 전한길 선생 유튜브 채널 수익 창출 금지 조치

3. 사건의 큰 그림 요약

위 여러 최근 한미에서 일어난 큰 사건들을 종합하면 다음과 같은 연결 고리가 드러난다.

A. 찰리 커크의 죽음과 미국·한국 좌파 지도부 등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게 아닌가 하는 의혹.

B. 트럼프–이재명 양자회담 전후로 한미 간 주요 사건이 연속적으로 발생. 특히 한편으로는 트럼프에 당근을 제시하고, 뒤에서는 줄곧 한반도 평화법 종전선언을 통한 궁극적 미군철수를 시도하고 있음.

C. 민노총 해체와 반중반북 기조를 선택한 한 윤석열 대통령에 대해 같은 세력이 정치적 파면을 시도했고, 그 주요 지지 세력, 특히 윤석열 측근들과 친미 보수 성향의 기독교계에 대해 집중 탄압 중

D. 한국 종북 조직들이 미국 내부 반미 조직 및 진보 민주당 의원들, 일부 친트럼프 정보 라인 관계자 등과도 커넥션을 갖고 개입해 트럼프 행정부를 흔들며 여러 반미 사건들의 핵심 축으로 은밀히 침투한다는 강력한 의혹

E. 결론적으로 이재명 정권의 배후 세력이 북한·중국과 연계된 극비 암살 네트워크와도 연결되어 있을 가능성을 전혀 배제할 수 없는 상태로, 이 과정에서 미국 좌파 세력 DSA와의 연계 가능성 또한 강력히 제기되고 있다.

4. 트럼프 행정부및 한국 보수당에 조언 및 경고

민주노총은 지금도 김일성이 명예위원장으로 있는 전평의 정신을 계승한다고 공개 과시하고 있다. 현재 한국 이재명 정권 및 과거 문재인 정권 핵심 기반 중 하나인 민주노총 기타 다수의 강성 좌파 조직들, 일부 민주당 및 민중당 의원들은 미국 내에서도 가장 친북적 반미 조직으로 알려진 노둣돌, 위민크로스 DMZ와 가까운 미국 국가정보국장, 한반도 종전법안 발의자이자 반트럼프 민주당 진보 의원들인 앤디 킴, 로 카나 의원 등과 오래 전부터 다양한 커넥션을 가져왔다.

이들은 하와이 출신 털시 개버드 국가정보국장 라인을 이용하여 트럼프를 제2의 김대중과 지미 카터로 만들어 김정은과의 재회를 통한 노벨평화상 수상 유도 공작, 궁극적 주한미군 철수로 이어질 한반도 종전선언을 평화라는 미명으로 한반도의 복잡한 정세에 어두운 미국 관계자들을 교묘하게 속이며 추진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트럼프에게 노벨평화상을 받게 하는 대가로 북한을 이스라엘이나 파키스탄 모델로 사실상의 핵 보유국으로 인정 받도록 하는 것은 물론, 겉으로는 '한반도 비핵화, 한반도 평화, 당장 주한미군 철수는 김정은도 바라지 않는다' 라는 입장을 내세워 미국 의원들 및 트럼프 대통령을 설득하며 시간을 끌고, 전형적인 살라미 전술로 미국의 오판을 유도하려 하고 있다.

이것이 여의치 않을 경우 대대적인 반트럼프 시위 쪽으로 더 많은 투자를 하며 미국 내 갈등 촉발로 미국 정치를 혼란에 몰아넣을 것임은 자명하다.

트럼프 행정부는 민주당은 물론이고 공화당 의원들도 이런 한국의 중북종중한국좌파들의 속셈을 알아차리고 절대 매수되지 말아야 할 것이다. 현재 한국 이재명 정부의 성격을 보면 과거 문재인 정부 시절 Korea Foundation 등을 통한 전방위 로비와 자금 살포로 워싱턴 씽크탱크들과 대학 관계자들, 공화당 및 민주당 정치인들을 매수하며 최종적으로 평양 정권과 중국 공산당, 푸틴 러시아 등 북중러의 이익이 되는 방향으로 미국 행정부의 판단을 이끌고 가도록 유도할 것으로 예측된다. 도널드 J 트럼프 대통령이 이러한 공작에 넘어가지 않기를 강력히 촉구한다.

2025년 9월 14일
한 해외동포 정리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 The Assassination of Charlie Kirk, the DSA (Democratic Socialists of America), and Alleged Links to the U.S.–Korea Democratic Party Leadership and Labor Unions ■

On September 10, 2025, Charlie Kirk was assassinated during a debate in Utah. Questions have since arisen about possible connections between the DSA (Democratic Socialists of America), overseas organizations—particularly Korean groups—and this political killing. The FBI reportedly secured partial intelligence materials linking the suspect to foreign actors. Two days later, 22-year-old Tyler Robinson, who was revealed to have ties with the DSA, was arrested, amplifying suspicions over the broader forces behind the assassination.

This article seeks to outline the timeline of events, based on available reports and sources, and to highlight the broader picture involving both the United States and South Korea.

1. Background of the DSA

The DSA, founded in the 1980s, is the largest left-wing social movement organization in the United States. It combines radical and soft-left factions, including youth groups. The organization has taken a pro-Palestinian, anti-Israel stance, often expressing support for Palestinian resistance while opposing Israel, reportedly backed by Iran. Today, it has about 80,000 members across all 50 U.S. states, with DSA International serving as its overseas extension.

2. Timeline of Key Events

1) Jan. 19, 2022 – DSA International Centre Statement
●Demanded Biden lift Trump-era travel bans to North Korea
●Called for lifting sanctions against North Korea
●Urged a formal peace treaty to end the Korean War

2) June 2023 – Reported by OhmyNews (South Korea)
During President Yoon Suk-yeol’s visit to Harvard, Working Mass members under the Massachusetts DSA, including some Koreans, staged protests
●Chants: “Union buster Yoon,” ●“Warmonger Yoon,” “Stop union repression”

3) Dec. 9, 2024 – DSA Seattle Branch Statement
●Condemned Yoon’s martial law declaration, calling for mass uprising
●Slogans: “Impeach Yoon,” “Yoon must resign”

4) Jan–Mar 2025 – Pastor Son Hyun-bo’s ‘Save Korea’ Rallies in South Korea.
Anti-LGBTQ protests, opposition to Yoon’s impeachment

5) Feb. 3, 2025-
Democratic Party (South Korea) figures—Park Sun-won, Moon Chung-in, Kim Min-seok—pushed to nominate Trump for the Nobel Peace Prize

6) Feb. 26, 2025 – Renewed Push for End-of-War Declaration.
Led by U.S. Democrats, including Rep. Brad Sherman, Andy Kim, and KAPAC Chair Choi Kwang-chul

7) May 2025 – Busan By Election Case
●South Korea’s NEC filed charges against Pastor Son Hyun-bo
●Busan prosecutors raided his church over alleged involvement in superintendent by-election (progressive candidate reportedly received triple the early votes compared to conservative candidate)

8) June 3, 2025 – Early Presidential Election in South Korea
Lee Jae-myung declared winner; fraud allegations raised (progressive camp received triple early votes compared to conservative Kim Moon-soo)

9) July 25, 2025 – Anti-Trump Event.
Lee Jae-myung’s foreign policy adviser Choi Kwang-chul invited Rep. Brad Sherman to attend a peace roadmap event; several Democratic Party lawmakers participated

10) July 31, 2025 – Anti-Trump Protest in Manhattan.
Organized by the “Candlelight Alliance,” led by Korean unions and famoust anti-US & anti-Trump activist Kim Min-woong, the elder brother of the first prime minister of the Lee Jae-myung government.

이재명 정부 초대 국무총리 김민석의 친형으로 알려진 김민웅 씨는 촛불행동의 중심으로 미국 뉴욕 등 교민 사회를 오가며 양키 고홈 등 반미주의 입장을 꾸준히 설파해 온 것으로 알려졌다.

국민의 힘 신임 당대표 장동혁 의원은 소셜 미디어를 통해 "트럼프의 미국은 양키 제국주의 끝판이며, 반드시 이를 물러나게 해야 한다"고 선동한 김민석 총리 친형 김민웅을 강력하게 비판했다. 다수 우파 유투버들도 김민웅의 위험성 지적과 함께, 한반도 종전선언을 위해 트럼프를 이용해야 하므로 한국 진보세력은 오히려 미국 민주당 후보가 아닌 트럼프를 차기 미국 대통령으로 밀어야 한다고 주장한 김어준 등의 두 얼굴에 대해 질타하고 있다. / @프리덤조선

11) Aug. 18, 2025 – Federal Investigation into KAPAC.
U.S. federal authorities launched a probe into KAPAC and its chairman Choi Kwang-chul for violations of FARA (Foreign Agents Registration Act) and nonprofit laws

12) Aug. 25, 2025 – Trump’s Social Media Post Before U.S.–Korea Trade Talks.
“It looks like purges and revolution are happening in Korea. We cannot do business with such a country.”

13) Aug. 31, 2025 – South Korean NSC Head Wi Sung-rak Statement.
Suggested “far-right forces may be behind Trump’s special counsel remarks”

14) Sept. 2, 2025 – Pastor Rob McCoy’s Visit to Korea
●Claimed Charlie Kirk had briefed Trump on Korea’s political repression
●Warned of South Korean government’s severe persecution of Christianity

15) Sept. 4, 2025 – Pastor Son Hyun-bo Arrested
●Arrested for election law violations
●Several other large churches raided

16) Sept. 5–6, 2025 – Charlie Kirk Visits Korea
Stated: “Korea’s freedom movement will impact the entire world”

17) Sept. 8, 2025 – ICE Raid on Hyundai Plant in Georgia
●300 undocumented workers arrested, many reported to be union-affiliated

18) Sept. 9, 2025 – Appointment of New Overseas Korean Agency Head
●Kim Kyung-hyup, Democratic Party lawmaker and longtime radical activist, appointed despite past pro-North Korean activities

19) Sept. 10, 2025 – Charlie Kirk Assassinated.
●At 32, Kirk was seen as a rising conservative leader and Trump ally; shot dead during debate in Utah

20) Sept. 13, 2025 – Arrest of Shooter Tyler Robinson
●22-year-old revealed to have DSA ties (Strong suspicions are being raised extensively)

21) Sept. 14, 2025 – Further Crackdowns on Pro-Yoon Figures
●Google Korea demonetized historian Han Gil Jeon’s YouTube channel

3. Broader Picture Summary

From these tit for tat political events and incidents that have happened between the USA and Sk, several key patterns emerge:

A. Charlie Kirk’s death raises suspicions of close ties between U.S. and Korean left-wing leadership networks.
B. A series of major U.S.–Korea incidents unfolded around the Trump–Lee Jae-myung summit, with attempts to weaken Trump while advancing the Korean peace law and end-of-war declaration, implicitly aiming for U.S. troop withdrawal.
C. Efforts to undermine President Yoon Suk-yeol—who chose a pro-U.S., anti-China, anti-North Korea stance—through targeted repression of his allies and Christian supporters.
D. The Korean Confederation of Trade Unions (KCTU) emerged as a central force, extending influence even into U.S. domestic affairs and protests against Trump.
E. Ultimately, suspicions grow that Lee Jae-myung’s regime is tied to a North Korea–China-backed assassination network, connected with U.S. leftist groups such as the DSA.

4. Advice and Warning to the Trump Administration and Korean Conservatives

The KCTU still openly declares itself the successor of Jeonpyeong, the pro-Kim Il-sung labor front. Reports suggest that pro-North figures within the Lee Jae-myung government are building near-subversive networks abroad, such as in Hawaii, through groups like Nodutdol and Women Cross DMZ.

These groups, some linked with Tulsi Gabbard’s network, appear intent on staging a “reunion show” between Trump and Kim Jong-un, offering Trump a Nobel Peace Prize in exchange for de facto recognition of North Korea as a nuclear state. Their ultimate objective seems to be passing a Korean peace law that would mandate the withdrawal of U.S. forces from the peninsula.

The Trump administration must remain vigilant. Not only Democrats but also certain Republicans may be courted or financially influenced by Korean leftist ¥elements through organizations such as the Korea Foundation. Trump and his allies must resist such manipulation at all costs.

September 14, 2025
Compiled by an Overseas Korea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