워싱턴에 위치한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는 이달 20일 '비욘드 패럴렐(Beyond Parallel)' 프로젝트를 통해 평안북도 신풍동 미사일 작전 기지의 존재를 확인하는 상세한 보고서를 발표했다.

이 기지는 중국 국경에서 약 27km, 평양에서 북북서쪽으로 146km, 서울에서 북서쪽으로 340km 떨어진 위치에 있다.

CSIS에 따르면 이 기지에는 6~9기의 대륙간탄도미사일(ICBM)을 탑재한 3개의 미사일 발사대대로 구성된 여단급 부대가 주둔하고 있을 가능성이 높다. 이 미사일들은 핵탄두 탑재가 가능한 화성-15형 또는 화성-18형으로 추정된다.

8월 12일에 촬영한 북한의 신풍동 미사일 작전 기지를 보여주는 플래닛 랩스가 제공한 위성 사진 / 사진 = Planet Labs @프리덤조선


보고서는 해당 기지를 미신고 시설로 묘사하며, 미국과 북한 간 협상에서 비핵화 대상으로 거론된 적이 없다고 지적했다. 

2003년으로 거슬러 올라간 위성 사진 분석에 의하면 해당 시설은 지속적으로 유지 관리되고 개발되어 왔으며, 2004년경 공사가 시작되어 2014년에야 운영 능력을 확보했음을 보여준다.

분석가들은 2014년 이후 지속적인 개선이 북한의 대륙간 및 중거리 탄도 미사일 개발, 기지 요건, 그리고 조직 변화와 일치한다고 결론지었다.

신풍동 기지는 태관군의 좁은 산골짜기, 부고산 남쪽 기슭에 위치해 있다. 면적은 약 22㎢이며, 4.8km 길이의 주요 계곡 하나와 네 개의 작은 지류 계곡이 있다.

이 부지는 1980년대와 1990년대 위성 사진에서 확인된 바와 같이 한때 농업과 벌목에 사용되었으나, 2000년대 중반 이후 조선인민군 군사건설국의 특수 건설 부대가 이 시설을 개발한 것으로 추정된다.

북한 관영 조선중앙통신이 2024년 10월 4일 공개한 사진에는 북한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북한 내 비밀 장소에 있는 조선인민군 특수작전부대 훈련기지를 시찰하는 모습이 담겨 있다. / 사진 = 조선중앙통신 @프리덤조선


CSIS는 이 기지에는 6~9발의 대륙간탄도미사일(ICBM)을 탑재한 3개 미사일 발사 대대로 구성된 여단급 부대가 주둔하고 있을 가능성이 높다고 지적했다.

이 미사일들은 핵무기를 탑재할 수 있는 화성-15 내지 화성-18 미사일이거나, 이동식 발사대에 탑재된 또 다른 미공개 ICBM일 가능성이 있다.

보고서는 또 지원 차량, 병참 요소, 그리고 인원 수용 시설에 대해서도 언급하고 있다.

작전 평가에 따르면 위기 상황 시 발사대와 미사일은 기지에서 이탈하여 특수 탄두 저장 및 수송 부대와 연결되고, 사전 조사된 분산된 장소에서 발사 작전을 수행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 신풍동 미사일 작전 기지는 약 15~20곳으로 추정되는 미신고 탄도 미사일 관련 시설 중 하나다. 회정리, 상남리, 용조리, 용림 등 전략 미사일 벨트에 있는 다른 기지들과 함께 신풍동은 북한 핵 억지력의 핵심 요소를 형성한다.

특히 중국 국경 근처에 위치한 신풍동은 잠재적 선제 공격으로부터 추가 보호를 제공할 수 있는 바, 워싱턴과 베이징 모두에게 위험 부담을 가중시킬 수 있다.

이러한 조사 결과는 북한의 탄도 미사일 인프라가 과거에 추정했던 것보다 더 크고, 더 분산되어 있으며, 더 높은 생존력을 갖고 있음을 나타낸다. 이는 감시 및 군비 통제 노력에 복잡한 과제를 제기한다.

CSIS에 따르면, 신풍동 기지에는 핵 탄두 탑재가 가능한 6~9기의 대륙간탄도미사일(ICBM)을 발사할 수 있는 3개 대대로 구성된 여단급 부대가 주둔할 가능성이 높다. /사진 = 조선중앙통신 @프리덤조선


분석가들은 일부 결과는 불완전할 수 있지만, 이 기지는 북한의 장기적인 핵 억지력 계획과 미사일 개발 프로그램의 지속성을 보여준다고 경고한다.

이 연구는 여단급 ICBM 전력, 강화된 시설, 그리고 전략 벨트 내 위치 등을 갖춘 신풍동 기지가 과거 협상 틀에서 벗어나면서도 동아시아와 미국 본토를 위협할 수 있는 북한 역량의 핵심 역할을 한다고 결론지었다.

CSIS의 해당 보고서는 다음 링크에서 확인할 수 있다.

https://beyondparallel.csis.org/undeclared-north-korea-sinpung-dong-missile-operating-ba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