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샤라 시리아 임시대통령과 악수하는 트럼프 미국 대통령.(사진=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13~15일(현지시간) 사우디아라비아, 카타르, 아랍에미리트(UAE)를 방문하며 “이란과 관련해 영원한 적은 없다”고 밝혔다.
그의 집권 2기 외교는 13일 사우디-미국 투자 포럼에서의 이 발언에 압축되었다.
트럼프는 사우디 방문 중 시리아에 대한 제재를 중단하고, 친러시아·친이란 노선을 유지했던 바샤르 알 아사드 정권 붕괴 이후 알누스라 전선 출신 아메드 알샤라 시리아 임시 대통령과 14일 회동했다.
이는 집권 1기 북한과의 파격 회담을 연상케 하는 실리 외교로, 이스라엘의 우려와 신중론에도 불구하고 과거보다 현재 이익을 우선시했다.
영국 더타임스는 알샤라가 천연자원 개발 ‘광물협정’을 제안했다고 보도하며 트럼프의 ‘거래 외교’를 추정했다.
시리아 관계 정상화는 사우디 등 걸프 국가들의 안보에 긍정적이지만, 이란과 북한에 주는 메시지도 크다.
트럼프는 최근 북한을 ‘핵무기 보유국’으로 칭하며, 완전한 비핵화 대신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제한과 제재 해제를 거래할 가능성을 시사했다. 이는 핵 개발 의혹이 있는 이란과는 복잡성이 다르지만, 협상 여지를 열어둔 행보로 해석된다.
트럼프는 순방 중 사우디(6천억 달러), 카타르(1조2천억 달러), UAE(1조4천억 달러)로부터 대미 투자와 미국산 제품 수입을 포함한 경제-안보 협력을 이끌어냈다.
사우디 투자 포럼에는 샘 올트먼(오픈 AI), 젠슨 황(엔비디아), 일론 머스크(테슬라) 등 빅테크 CEO들이 참석해 중동 ‘오일 머니’와의 가교 역할을 했다. 그러나 투자 규모가 부풀려졌다는 지적이 나온다.
논란도 적지 않다.
트럼프는 카타르 왕실로부터 4억 달러 상당의 초고가 항공기를 선물받아 민주당과 공화당 내부에서 “안보 리스크”와 “도덕적 문제” 비판을 받았다.
뉴욕타임스는 트럼프 가문의 사우디 제다 트럼프 타워, UAE 호텔·골프장, 카타르 부동산 등 6건의 사업이 이해충돌 우려를 낳는다고 지적했다.
에릭 트럼프가 순방 전 카타르와 UAE를 방문한 점도 논란을 키웠다.
트럼프의 순방은 이스라엘-하마스 전쟁 종식 구상 부재로 아쉬움을 남겼지만, 중동 왕정 국가들의 낮은 여론 비판 환경을 활용한 ‘손쉬운 외교 데뷔’라는 평가도 받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