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왼쪽)과 아메드 알샤라 시리아 임시대통령(오른쪽).(사진=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중동 순방 중 시리아 제재 해제를 전격 발표했으나, 국무부와 재무부 등 제재 담당 부서에 사전 통지하지 않아 혼란이 빚어졌다.

14일(현지시간) 로이터 통신에 따르면, 백악관은 13일 사우디아라비아 리야드 투자포럼에서 트럼프가 “모든 시리아 제재를 해제하고 관계 정상화를 추진한다”고 밝혔을 때, 국무부와 재무부에 준비 지시나 발표 임박 사실을 알리지 않았다. 이로 인해 제재 해제 방식, 대상, 절차 등이 불명확해 당국자들이 당황했다.

트럼프는 이튿날 시리아 임시대통령 아메드 알샤라와 첫 정상회담을 했으나, 관련 부서들은 여전히 구체적 방안을 파악하지 못했다.

시리아는 1979년 테러지원국 지정 이후 수십 년간 제재가 누적돼 해제 절차가 복잡하다.

컬럼비아대 에드워드 피시먼 교수는 “완전 해제는 수개월 이상 걸릴 수 있으며, 테러 연루 인사나 단체는 제재 대상으로 남을 가능성이 크다”고 전망했다.

미 당국자는 “모두가 시행 방안을 찾으려 노력 중”이라며, 국무부와 재무부가 작년 바샤르 알아사드 정권 붕괴 후 제재 해제 보고서를 준비했으나 내부 논란이 지속됐다고 밝혔다.

트럼프의 결정은 사우디아라비아 왕세자 모하메드 빈 살만과 튀르키예 대통령 레제프 타이이프 에르도안의 요청으로 이뤄졌다.

알샤라는 작년 12월 튀르키예 지원 반군을 이끌며 친이란·친러시아 성향의 알아사드 정권을 전복하고 친서방·친아랍 정책을 추진해 왔다. 반면, 이스라엘 총리 베냐민 네타냐후는 알샤라의 과거 알카에다 연계와 최근 골란고원 점령을 이유로 제재 유지와 시리아 폭격을 주장하며 반발했다.

트럼프의 즉흥적 결정은 이란, 북한 등 다른 제재 정책에도 영향을 미칠지 주목된다.

알샤라는 제재 해제를 “시리아 재건의 전환점”이라며 환영했으나, 미 의회와 부처 간 협의 부족은 논란을 낳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