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 정찰위성 4호기 탑재 우주발사체 '팰컨9' 미국서 발사
우리 군의 정찰위성 4호기를 탑재한 미국 우주기업 스페이스Ⅹ의 발사체 '팰컨9'이 한국시간 22일 오전 9시 48분(현지시간 21일 오후 8시 48분) 미국 플로리다주 케이프커내버럴 우주군 기지에서 발사되고 있다.(사진=얀힙뉴스)


국방부는 우리 군의 정찰위성 4호기가 22일 우주궤도에 진입해 지상국과 교신에 성공했다고 밝혔다.

이는 정찰위성 1~3호기에 이어 4호기 발사 성공으로, 위성 군집 운용을 통해 대북 감시망을 더욱 촘촘히 구축하는 계기가 됐다.

정찰위성 4호기를 탑재한 미국 스페이스X의 발사체 팰컨9은 22일 오전 9시 48분(한국시간, 현지시간 21일 오후 8시 48분) 미국 플로리다주 케이프커내버럴 우주군 기지에서 발사됐다.

발사 2분 18초 후 1단 추진체가 분리됐고, 19초 후 페어링(위성보호덮개)이 분리됐다. 15분 만인 10시 3분, 2단 추진체에서 분리된 4호기는 목표궤도에 안착했다. 낮 12시 27분, 발사 2시간 39분 만에 지상국과 교신에 성공했다.

정찰위성 4호기는 수개월간 운용시험평가를 거쳐 대북 감시·정찰 임무를 수행할 예정이다.

4호기는 2·3호기와 동일한 합성개구레이더(SAR)를 탑재, 기상 조건에 구애받지 않고 주야간 촬영이 가능하다.

SAR는 전자파를 지상 목표물에 쏜 뒤 반사 신호를 합성해 영상을 생성한다. 반면 1호기는 전자광학(EO)·적외선(IR) 장비를 탑재, 선명한 이미지를 얻지만 구름 등 기상에 영향을 받는다.

군 정찰위성 '425사업' 개요

우리 군의 정찰위성 4호기를 탑재한 미국 우주기업 스페이스Ⅹ의 발사체 '팰컨9'이 한국시간 22일 오전 9시 48분(현지시간 21일 오후 8시 48분) 미국 플로리다주 케이프커내버럴 우주군 기지에서 발사됐다.(사진=연합뉴스)


정찰위성 1호기는 2023년 12월 2일 발사 후 2024년 8월부터 임무를 수행 중이며, 2호기(2024년 4월 8일 발사)와 3호기(2024년 12월 21일 발사)는 전력화 절차를 진행하고 있다.

4호기는 ‘425 사업’의 일환으로, 중대형 정찰위성 5기 확보를 목표로 한다.

5호기도 SAR 탑재로 연내 발사 예정이다. 우리나라는 흐린 날이 70%에 달해 SAR 위성 위주로 확보한다.

위성 군집 운용은 다수 위성이 동일 임무를 수행해 한반도 재방문 주기를 단축한다. 이는 정보 획득 기회를 늘리고, 관측 각도를 다양화하며, 위성 고장 시 유연한 대처를 가능케 한다.

5기 배치 완료 시 북한 김정은의 도발 징후를 2시간 단위로 감시할 수 있다.

국방부와 방위사업청은 “4호기 발사 성공으로 독자적 감시정찰 능력을 강화했다”며 “한국형 3축 체계의 킬체인 역량을 한층 높일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