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조용원(노동당 조직비서).(사진=연합뉴스)
통일부는 북한 김정은의 최측근으로 평가되는 조용원(노동당 조직비서)과 리일환(노동당 비서)이 두 달 가까이 공식 매체에서 사라진 데 대해 신변 이상 가능성을 주시한다고 22일 밝혔다.
조용원은 지난 2월 28일 개풍구역 지방공업공장 착공식 보도에서 마지막으로 등장했으며, 리일환은 지난 1월 2일 노력혁신자·공로자 신년 기념촬영 이후 자취를 감췄다.
4월 15일 김일성 생일 간부 참배 보도에서 박태성(내각 총리)와 최룡해(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장)는 언급됐으나, 조용원의 이름은 빠졌다.
통일부 당국자는 “두 달간 공개 활동 부재는 주시할 사안”이라며 “과거 사례로 고령 은퇴, 발병, 혁명화 교육, 숙청 등이 있었다”고 밝혔다.
북한 리일환(노동당 비서).(사진=연합뉴스)
이들의 실종 시기는 김정은이 간부 기강 잡기에 나선 시기와 겹친다.
김정은은 지난 1월 27일 노동당 중앙위원회 제8기 제30차 비서국 확대회의에서 지방간부 비위를 “특대형 범죄”로 질타했다.
노동신문은 “칼날 기강”과 규율 준수를 강조하는 기사를 연이어 실었다.
통일부는 “기강 확립 움직임과 연관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고 밝혔다.
조용원은 노동당 조직을 장악하며 김정은의 정책 실행을 주도한 핵심 인물이다. 그의 신변 이상은 북한 체제의 불안정성을 드러낸다.
통일부는 북한의 간부 동향을 면밀히 분석하며 한반도 안보에 미칠 영향을 점검하고 있다. 이는 자유민주주의 가치를 지키기 위한 단호한 대응의 필요성을 보여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