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트북 컴퓨터.(사진=연합뉴스)
북한이 IT 노동자 위장 취업으로 해킹 공작을 벌이고 있다.
20일(현지시간) 영국 가디언에 따르면, 영국은 자국 기업에 구인 시 대면·화상 면접을 권고했다. 이는 북한의 ‘IT 전사’가 유럽, 특히 영국을 표적으로 삼고 있기 때문이다.
구글 보고서는 북한 IT 노동자들이 원격근무 프리랜서로 위장해 외화를 벌어들인다고 밝혔다.
구글 위협 인텔리전스 그룹의 존 헐트퀴스트 총괄은 “북한은 미국의 제재 압박으로 영국을 주요 표적으로 삼고 있다”고 말했다.
헐트퀴스트는 “유럽에서 북한의 가장 광범위한 작전이 영국에서 펼쳐진다”고 밝혔다.
그는 “대면이나 화상 인터뷰를 하면 위장 취업 계략은 대개 실패한다”며 기업의 철저한 신원 확인을 강조했다.
북한이 외화벌이나 해킹 도구로 쓰는 것으로 알려진 위장취업.(사진=연합뉴스)
북한 IT 전사는 과거 미국 기업을 주로 공략했다.
미국의 사법 처리와 제재로 여건이 어려워지자 활동 무대를 유럽으로 확장했다.
지난해 북한 IT 노동자 1명이 최소 12개 신원으로 방위사업체와 정부 기관에 지원한 사례가 적발됐다.
시큐어웍스의 북한 전문가 사라 컨은 “위장 취업 위협은 기업이 인식하는 것보다 널리 퍼져 있다”고 말했다.
그는 “대면 인터뷰나 화상 인터뷰는 미국에서 효과적이었다”며 지원자 검증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컨은 “북한 IT 노동자들은 비좁은 작업장에서 근무해 화상 인터뷰를 꺼린다”고 밝혔다. 그는 기업 인사 부서에 북한의 위장 취업 전술 교육을 권고했다.
북한의 위장 취업은 국제 안보를 위협한다. 이는 북한의 불법 외화 획득과 해킹 공작의 일환이다. 자유공화시민은 이 같은 행태를 경계해야 한다.
북한의 IT 해킹 공작은 글로벌 사이버 안보를 위협하는 불법 행위로, 국제 사회의 협력으로 차단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