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사진=연합뉴스)

미일 간 첫 관세 협상이 19일 공개되며 한미 협상의 가늠자로 주목받는다.

일본 아카자와 료세이 경제재생상은 18일 귀국해 이시바 시게루 총리에 협상 결과를 보고했다.

아카자와는 지난 16일(현지시간) 백악관에서 트럼프 대통령과 50분간 면담하며 논의를 시작했다.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대일 무역적자를 제로로 만들고 싶다”며 메모를 보며 강한 의지를 밝혔다.

그는 “미국은 일본을 지키는데 일본은 부담이 없다”며 방위비 증액을 압박했다.

장관급 회담에서 미국은 자동차 안전기준 불평등과 쌀 유통 불투명을 지적했다.

미국은 육류·어패류·감자 등 농산물 수입 확대를 요구하며 USTR 보고서를 언급했다.

일본은 비관세장벽 전면 변경이 어렵다며 우선순위 협의를 제안했다.

이시바 총리는 “정부 내 조정을 가속화하라”며 쌀·콩 수입 확대를 검토 지시했다.

아카자와 료세이 일본 경제재생상.(사진=연합뉴스)

일본은 자동차 인증제도 완화를 협상 카드로 준비하며 대응 전략을 세운다.

양국은 이달 중 두 번째 협상을 열어 무역과 안보 쟁점을 논의한다.

아카자와는 “철저히 분석해 다음 협상에서 패키지 합의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트럼프의 환율 불만으로 환율 문제는 다음 협상 의제로 떠오를 전망이다.

가토 가쓰노부 재무상은 오는 24일(현지시간) 베선트 재무장관과 환율 협의를 조율한다.

일본은 방위비 분담을 관세와 분리하려 하지만 트럼프의 강경론이 부담이다.

나카나티 겐 방위상은 “안보는 관세와 별개”라며 분리 방침을 고수했다.

아사히신문은 트럼프가 방위비 증액을 재요구하면 일본이 협상에서 곤란해질 것이라고 내다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