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 와일드베리스 물류창고.(사진=연합뉴스)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대북 제재에도 불구하고 러시아 기업에서 북한 노동자 수백 명이 일하고 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모스크바 타임스는 15일(현지시간) 러시아 최대 전자상거래 업체 와일드베리스의 모스크바 창고에서 북한 노동자들이 일하는 영상이 공개됐다고 보도했다.
와일드베리스는 타티야나 김(창립자)이 설립한 러시아 대표 전자상거래 기업이다.
러시아 텔레그램 채널 오스토로즈노 노보스티는 해당 영상이 와일드베리스 직원 단체 채팅방에 공유됐다고 전했다.
영상에는 보라색 와일드베리스 작업복을 입은 북한 노동자로 추정되는 인물들이 등장했다.
와일드베리스는 “외국인 노동자를 고용하는 시범 프로젝트를 진행 중이며 성과에 따라 확대를 검토한다”고 밝혔다. 그러나 와일드베리스는 노동자가 북한 출신이라는 주장에 대해 직접 언급을 피했다.
러시아 매체 RTVI는 텔레그램 채널에서 와일드베리스가 북한 노동자 수백 명을 고용했다는 주장을 보도했다.
북한 정권과 러시아의 밀착 강화로 유엔의 대량살상무기 억제 제재가 무력화되고 있다는 비판이 이어진다.
유엔 안보리는 2017년 결의 2375호를 통해 회원국의 북한 노동자 고용을 금지했다. 이어 2019년 12월까지 해외 북한 노동자를 전원 송환하도록 결의했으나 실효성은 제한적이었다.
러시아 외무부는 2020년 초 교통 제약으로 북한 노동자 송환이 어렵다고 주장했다.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은 지난해 6월 유엔 제재가 노동자 가족 생계를 위협한다고 비판했다.
그는 “이주의 권리를 제재하면 가족이 생계를 잃는다”며 제재의 부당성을 강조했다. 이후 북한 정권은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전쟁을 지원하며 병력을 파견한 것으로 확인됐다.
북한과 러시아는 작년 포괄적·전략적 동반자 관계 조약을 체결하며 협력을 심화했다.
미국 매체 NK뉴스는 14일 블라디보스토크 당국이 건설 현장에서 북한 노동자들이 일하는 영상을 공개했다고 보도했다.
블라디보스토크 당국은 “코리안들이 합법적으로 일한다”고 주장했으나, 한국인은 러시아 건설 현장에 없다고 NK뉴스는 지적했다.
영상에는 북한 특유의 억양을 사용하는 노동자들이 등장해 북한인으로 추정된다.
국가정보원은 북한이 학생 비자를 활용해 수천 명의 노동자를 러시아로 보냈다고 밝혔다.
모스크바 타임스는 러시아 외무부 자료를 인용해 작년 북한인 대상 비자 9천300건 중 8천600건이 학생 비자였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