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 한국 신용등급 AA (PG).(사진=연합뉴스)
국제 신용평가사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는 지난 15일 한국의 장기 국가신용등급을 ‘AA’로 유지하며 안정적 전망을 부여했다.
S&P는 2016년 한국 신용등급을 ‘AA-’에서 ‘AA’로 상향 조정한 이후 변동 없이 이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S&P는 한국 경제가 향후 3~5년간 고소득 국가들보다 높은 약 2% 성장률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했다.
올해 GDP 성장률은 국제 무역 여건 악화로 1.2%로 둔화했다가 내년 2.0%로 회복될 것으로 예상했다.
S&P는 2028년까지 한국의 1인당 GDP가 4만1천달러를 넘어설 것으로 내다보며 경제 잠재력을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정부 재정적자는 올해 GDP 대비 -0.8%로 작년(-1.0%)보다 줄며 적정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전망했다.
S&P는 한국의 제도와 정책 환경이 국가 신용을 뒷받침하는 핵심 요소라고 강조했다.
S&P는 비상계엄 사태와 관련해 “정치적 안정성 신뢰가 손상됐지만 신속한 철회로 악영향이 완화됐다”고 평가했다.
정책 기관들의 적극적인 대응이 정치적 불확실성을 경제와 금융 시스템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막았다고 밝혔다.
S&P는 지속적인 정치적 분열이 차기 정부의 정책 추진 동력을 약화시킬 수 있다고 우려를 표명했다.
미국 관세 부과로 인한 세계 경제 둔화가 내년 세입 감소로 이어져 건전재정 기조에 부담이 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국내 금융기관의 우발채무 리스크는 제한적이나, 비금융 공기업의 채무가 재정 운용 제약 요인이라고 밝혔다.
S&P는 북한 정권 붕괴 시 발생할 통일 비용을 신용등급의 가장 큰 취약 요인으로 꼽았다.
S&P는 통일 비용을 “불확실하고 매우 부담 큰 우발채무”로 평가하며 잠재적 리스크를 강조했다.
경상수지 흑자는 향후 3년간 GDP의 5% 수준을 유지하며 외환시장이 완충 역할을 한다고 평가했다.
기획재정부 관계자는 S&P의 등급 유지 결정에 대해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그는 “대내외 불확실성 속에서 이번 결정은 한국의 신인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말했다.
S&P는 한국의 외환시장이 경제의 튼튼한 외부 완충장치 역할을 지속할 것이라고 평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