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로운 봄'을 기대하는 시라이인들
작년 12월 8일(현지시간) 시리아 반군이 내전 13년 만에 승리를 선언한 스웨덴 스톡홀름시티역 광장에서 시리아인들이 환호하고 있다.(사진=연합뉴스)

한국 정부는 10일(현지시간) 시리아 과도정부와 외교관계를 수립하며 북한을 제외한 191개 유엔 회원국 모두와 수교를 맺는 성과를 이뤘다.

작년 12월 친북 바샤르 알아사드 정권이 붕괴된 틈을 타 지난 2월 대표단을 파견해 수교를 추진한 지 두 달 만에 결실을 봤다.

교황청, 니우에, 쿡 제도 등 비회원국 3개국을 포함하면 수교국은 194개국으로, 작년 쿠바 수교에 이어 외교지평을 넓혔다는 평가다.

정부는 아사드 정권 축출로 북한 변수가 사라지자 신속히 움직였다.

2003년 이후 22년 만에 시리아를 방문한 대표단은 아스아드 알-샤이바니 외교장관과 협의하며 수교 의사를 확인했다.

알-샤이바니 장관은 “새로운 시리아는 한국과 양국 관계를 새롭게 맺길 희망한다”며 적극 호응했고, 양국은 일사천리로 수교를 완결했다.

외교부 당국자는 “아사드 정권 붕괴로 문제가 없어진 상황에서 수교는 자연스러운 수순”이라고 밝혔다.

아메드 알샤라 시리아 임시대통령.(사진=연합뉴스)


시리아 과도정부는 북한 및 러시아와 거리를 두며 실용주의를 선택했다. 시리아는 1966년 북한과 수교 후 반세기 넘게 밀착했으나, 아사드 정권 몰락 후 북한 대사관 외교관들이 모두 탈출했다.

인남식 국립외교원 교수는 “내전 끝 재건을 앞둔 시리아가 한국의 발전 경험을 원한다”며 “수교는 시리아의 포용적 변화를 보여주는 의미 있는 발걸음”이라고 평가했다.

정부는 쌀과 보건 지원을 시작으로 재건 협력을 모색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