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상임 장관, '바이오·SMR에 AI 융합' 경쟁력 강화전략 발표
유상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이 7일 정부세종청사 기자실에서 2025년도 과기정통부 핵심과제 3월 실적 및 4월 추진계획에 관해 설명하고 있다. 유 장관은 바이오·원자력 등 전략기술에 인공지능(AI)을 융합한 경쟁력 강화 전략을 수립하고 데이터센터 전자파 신호등, 스미싱 탐지 엑스레이 등 국민 불안 해소를 위한 디지털 시스템도 새로 운영한다고 밝혔다.(사진=연합뉴스)
유상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이 7일 “윤 대통령 파면 후 헌정 중단이라는 불행한 일이 발생했지만 남은 임기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이날 세종 과기정통부 청사 월례브리핑에서 유 장관은 “대선이 2개월 내 치러져 제 임기도 2개월 남짓 남았다”며 “과학기술 정보통신 분야 발전은 멈추거나 차질이 생겨선 안 된다”고 강조했다.
그는 취임 후 추진 중인 범부처 기술사업화 비전에 대해 “재직 중 다 이루긴 어렵지만, 다음 정부가 잇도록 기반을 만들겠다”고 말했다.
타 부처 반대로 비전 발표가 늦어진다는 지적에 “사실이 아니며 큰 어려움 없이 진행 중”이라며 “정보통신기술(ICT) 생태계 구축은 제가 발표하고 떠날 수 있을 것”이라고 반박했다.
유상임 장관, '바이오·SMR에 AI 융합' 경쟁력 강화전략 발표
유상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이 7일 정부세종청사 기자실에서 2025년도 과기정통부 핵심과제 3월 실적 및 4월 추진계획에 관해 설명하고 있다. 유 장관은 바이오·원자력 등 전략기술에 인공지능(AI)을 융합한 경쟁력 강화 전략을 수립하고 데이터센터 전자파 신호등, 스미싱 탐지 엑스레이 등 국민 불안 해소를 위한 디지털 시스템도 새로 운영한다고 밝혔다.(사진=연합뉴스)
대선 정국에서 논의되는 AI 부처 신설에 대해선 “AI·디지털 대전환 시대에 중요한 과제지만, AI만 떼어 부처로 만드는 건 바람직하지 않다”며 “과기정통부가 AI, 바이오, 양자를 주도하는 만큼 부총리급으로 격상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추경과 관련해 유 장관은 “GPU 도입 등 AI 논의가 필요하다”며 “올해 GPU가 들어올 가능성이 낮아 보릿고개가 될까 우려된다”고 밝혔다.
그는 “9개월만 지나도 3년 뒤처지고, 2030년까지 따라잡기 힘들다”며 “여·야·정 협의회를 통해 조속히 추경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미국 상호관세 논란에는 “국익 차원에서 접근해야 하며, 클라우드 등 5~6개 상황에 대한 협상 준비가 필요하다”고 했고, 미국 에너지부의 민감국가 지정 해제에 대해선 “4월 15일 전 해제 가능성은 낮지만 조속히 추진하겠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