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산 대통령실 전경.(사진=연합뉴스)
윤석열 전 대통령은 헌법재판소의 탄핵 인용으로 파면된 이틀째인 5일 서울 한남동 관저에 머물며 퇴거를 준비하고 있다.
퇴거 시기는 빠르면 내주가 될 가능성이 있으며, 대통령실 관계자는 "정리할 것도 많고 준비할 것도 많아 이번 주말을 넘겨야 퇴거가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과거 박근혜 전 대통령은 2017년 3월 10일 탄핵 인용 후 이틀 뒤인 3월 12일 일몰 후 청와대 관저를 떠나 삼성동 사저로 이동한 전례가 있다.
윤 전 대통령은 서초동 사저로 옮길 가능성이 큰 것으로 보인다.
그는 2022년 5월 취임 후 한남동 관저 정비가 완료될 때까지 약 6개월간 이곳에서 대통령경호처의 경호를 받으며 출퇴근한 바 있다.
이미 경호가 이뤄진 장소인 만큼 경호 계획 수립에 시간이 오래 걸리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다만, 서초동 사저가 주상복합 건물이라 경호동 설치가 쉽지 않고, 윤 전 대통령 부부가 키우는 반려동물이 많아 다른 장소를 물색 중이라는 이야기도 들린다.
경호처 관계자는 "윤 전 대통령이 이주할 장소가 결정되면 관련 법률과 규정에 따라 경호 활동을 시행할 것"이라며 "아직 퇴거 계획을 통보받지 못했다"고 말했다.
'전직 대통령 예우에 관한 법률'에 따르면 탄핵으로 퇴임한 경우에도 전직 대통령에 대한 경호·경비는 유지된다.
대통령실은 이날도 윤 전 대통령 파면에 대한 공식 입장을 내지 않고 침묵을 지켰으며, 전날 정진석 비서실장, 성태윤 정책실장, 신원식 국가안보실장 등 고위 참모진이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에게 일괄 사의를 표했으나 한 권한대행이 이를 반려했다.
한편, 대통령실 홈페이지는 5일 운영이 중단됐다.
홈페이지에 접속하면 "현재 대통령실 홈페이지 서비스 점검 중입니다. 점검 기간 동안 홈페이지 서비스가 일시중단됩니다"라는 안내문만 확인된다.
윤 전 대통령의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X 등 소셜미디어 계정 안내문도 전날까지 "대한민국 대통령 윤석열입니다"에서 이날 "제20대 대통령 윤석열입니다"로 변경됐다.
직무 정지 이후 일요일마다 정진석 비서실장이 주재하던 실장-수석비서관 회의도 6일에는 열리지 않을 것으로 알려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