꽃바구니 받는 한덕수 전 총리

한덕수 전 국무총리가 2일 서울 여의도 국회 소통관에서 대통령 선거 출마 선언을 마치고 나와 지지자로부터 꽃바구니를 받고 있다.(사진=연합뉴스)

 


◆ 한덕수 출마, 범보수 단일화 논의 본격화

2일 한덕수 전 국무총리가 대선 출마를 선언하며 보수 진영의 ‘이재명 대항 단일화’ 논의가 급물살을 타고 있다.

국민의힘은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선 후보를 견제하기 위해 한덕수, 김문수, 한동훈, 이준석 등 보수 주자들을 하나의 틀로 묶는 단일화 전략을 추진 중이다.

국민의힘 지도부는 대선 후보 등록일인 오는 10일부터 11일 전까지 단일화를 완료한다는 계획이다.

당 핵심 관계자는 “선거운동 시작 전 유권자들이 우리의 단일 후보를 명확히 알아야 한다”고 밝혔다.

국민의힘 최종 경선 진출한 김문수·한동훈 후보.(사진=연합뉴스)


◆ 전당대회와 단일화 주도권 경쟁

단일화 논의의 핵심 변수는 3일 열리는 국민의힘 전당대회에서 김문수와 한동훈 중 누가 공식 후보로 선출되느냐다. 두 후보는 한덕수 전 총리와의 단일화 방식과 단일화 범위에서 입장 차를 보인다.

권성동 원내대표는 “이재명에 반대하는 모든 세력과 협력할 전략을 세우겠다”고 강조했다.

김문수 캠프의 김재원 공보미디어총괄본부장은 “김문수가 공식 후보가 되면 단일화 협상을 주도할 것”이라며 강한 의지를 드러냈다.

김문수 후보는 “공식 후보가 된 후 한덕수 전 총리와 소통하며 책임 있는 결정을 내리겠다”고 말했다.

한동훈 후보는 단일화 필요성에는 동의하지만, 한덕수와의 협상에 대해 미묘한 불편함을 내비쳤다.

그는 경남 창원에서 “김문수나 한덕수는 이재명 후보를 이길 인물이 아니다”며 “당이 후보를 선출하면 그를 중심으로 승리 전략을 짤 것”이라고 밝혔다.

한덕수 전 국무총리 대선 출마 선언

한덕수의 대선 출마 선언 한덕수 전 국무총리가 2일 서울 여의도 국회 소통관에서 대통령 선거 출마 선언을 하고 있다.(사진=연합뉴스)


◆ 한덕수의 개헌 공약과 논란

한덕수 전 총리는 출마 선언에서 “헌법을 개정하고 3년 내 퇴임하겠다”는 공약을 내세웠다.

그는 “헌법 개정에 찬성하는 모든 세력과 협력하겠다”며 단일화 논의에 적극적인 태도를 보였다.

반면, 한동훈 후보는 “정치인은 행동으로 신뢰를 얻어야 한다”며 “나는 총선 불출마 약속을 지켰다.

중임제를 도입해 대통령과 국회 임기를 맞추고 정치 갈등을 줄이겠다”고 차별화했다.

김문수 후보는 중임제와 임기 단축에 원칙적으로 동의하지만, 구체적인 논의는 유보한 상태다.

서울스프링페스타 원더쇼 개막식 관람하는 이준석-오세훈

개혁신당 이준석 대선 후보(왼쪽)가 지난달 30일 서울월드컵경기장에서 오세훈 서울시장과 서울스프링페스타 원더쇼 개막식을 관람하고 있다.(사진=연합뉴스)

 


◆ 이준석과 오세훈의 역할

개혁신당 이준석 대선 후보는 단일화 논의에 거리를 두며 완주 의사를 분명히 했다.

이준석은 청년층과 중도층 유권자들에게 강한 지지를 받는 보수 주자로 꼽힌다.

최근 오세훈 서울시장이 이준석과 만나고, 한덕수 전 총리와 오찬 및 쪽방촌 방문을 함께하며 단일화 논의의 가교 역할 가능성이 제기된다. 그러나 이준석은 “한덕수의 출마 동기를 이해하기 어렵다”며 “오세훈 시장이 가교 역할을 할 것이라는 기대는 없다”고 밝혔다.

그는 국민의힘의 사과 요구에도 “단일화 입장은 변함없다”고 강조했다.

대구 찾은 이낙연 상임고문

새미래민주당 이낙연 상임고문이 2일 대구 북구 침산동 한 식당 앞에서 지지자들과 만나 인사하고 있다.(사진=연합뉴스)

 


◆ 외부 반응과 단일화 전망

새미래민주당 이낙연 상임고문은 한덕수의 개헌 제안에 공감하면서도 “윤석열 전 대통령에 대한 입장과 계엄, 탄핵 관련 생각을 밝혀야 한다”고 주문했다.

이준석은 한덕수의 3년 퇴임 공약에 대해 “트럼프와의 무역 전쟁, 중국의 부상 등 글로벌 도전에 대응하려면 5년 비전이 필요하다”며 비판했다.

국민의힘 내부에서는 단일화 성공 여부가 당무 우선권과 공식 후보의 의지에 달렸다고 본다. 단일화가 성사되면 이재명 후보와의 대결에서 자유공화시민 진영의 경쟁력을 크게 높일 것으로 전망된다.

※ 편집자 주.

본지는 ‘보수’를 ‘자유공화시민’으로, 보수단체를 ‘자유공화시민단체’로 표기한다.
이는 좌익과 좌파가 ‘보수’의 진정한 의미를 왜곡한 데 대한 독자 의견을 수용한 결과로, 자유를 존중하는 공화시민의 가치를 담기 위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