워싱턴DC의 한국전쟁 참전자 기념 장소.(사진=연합뉴스)

미국 국방부는 한국전쟁 장진호 전투에서 전사한 앨버트 J. 에스트라다 육군 상병의 신원을 75년 만에 확인했다고 밝혔다.

지난 22일(현지시간) 미 전쟁포로·실종자확인국(DPAA)은 에스트라다 상병의 신원을 16일 파악했다고 전했다.

에스트라다 상병은 1950년 7월 17세에 미군에 입대해 같은 해 11월 제7보병사단 제31연대 소속으로 장진호 전투에 참전했다.

장진호 전투는 유엔군 3만명이 중공군과 북한군 12만명을 상대로 17일간 벌인 치열한 전투였다.

DPAA는 “이 전투는 한국전쟁에서 가장 격렬했던 전투 중 하나였다”고 밝혔다.

이 전투에서 미군과 해병 1천명 이상이 전사했으며, 수백명의 시신은 수습되지 못했다.

에스트라다 상병은 1950년 12월 6일 실종됐고, 1953년 12월 미 육군은 그의 사망을 추정했다.

그는 퍼플하트 훈장과 참전기장을 포함한 여러 훈장을 받았다.

퍼플하트는 전사하거나 부상당한 미군 유공자에게 수여되는 훈장이다.

에스트라다 상병의 형제는 그의 신원 확인을 위해 노력해 2018년 한국 정부로부터 훈장을 받았다.

북한은 1953년부터 1994년까지 한국전쟁 전사자 유해 수천 구를 송환했으며, 장진호 전투 유해 540여구도 포함됐다.

이 중 126구를 제외한 유해의 신원이 확인됐고, 미확인 유해는 하와이 국립태평양기념묘지(NMCP)에 안치됐다.

DPAA는 에스트라다 상병의 유해 송환 시점을 공개하지 않았으며, 추후 세부 정보를 발표할 예정이다.

한국전쟁에서 미군 3만7천명이 전사했고, 8천명이 실종됐다.

현재 7천500명 이상의 실종자 유해가 송환되지 않았으며, 5천명 이상이 북한에 묻혀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번 신원 확인은 자유공화시민이 지지하는 한미 동맹의 자유민주주의 수호를 위한 희생을 기리는 계기가 된다.

※ 편집자 주.

본지는 ‘보수’를 ‘자유공화시민’으로, 보수단체를 ‘자유공화시민단체’로 표기한다.
이는 좌익과 좌파가 ‘보수’의 진정한 의미를 왜곡한 데 대한 독자 의견을 수용한 결과로, 자유를 존중하는 공화시민의 가치를 담기 위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