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무회의 참석하는 최상목 경제부총리
최상목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지난 25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국무회의에 참석하고 있다.(사진=연합뉴스)


최상목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지난해 2억원 상당의 미국 30년 만기 국채에 투자한 사실이 드러나 논란의 중심에 섰다.

31일 더불어민주당은 이를 두고 “경제 내란”이라며 강하게 비판했다.

정부공직자윤리위가 27일 공개한 ‘2025년 공직자 재산변동’에 따르면, 최 부총리는 1억9천712만원 상당의 국채를 신고했다.

기재부 관계자는 “최 부총리는 2017년 공직 퇴직 후 자녀 유학 준비로 2018년 달러를 보유했고, 지난해 중순 이를 국채로 매입했다”며 “최근 환율 변동과 무관하다”고 해명했다.

민주당은 최 부총리의 투자 행위를 경제 수장으로서 부적절하다고 공세를 펼쳤다.

이언주 최고위원은 광화문 천막당사 최고위원회의에서 “경제 안정을 외치며 환율 급등에 베팅했다”며 “윤석열 쿠데타 이후 환율 폭등으로 국민이 고통받을 때 무슨 생각이었나”라고 비난했다.

홍성국 최고위원은 “환율 위기 속 달러를 사는 것이 장관 역할이냐”며 “자신의 이익만 챙겼다”고 지적했다.

전현희 최고위원은 “공직자 이해충돌방지법상 직무에 사적 이익이 개입되면 회피해야 한다”며 “최 부총리의 국채 매입과 경제 운용은 명백한 이해충돌”이라며 직무 회피를 요구했다.

최 부총리 측은 민주당의 주장을 반박하며 투자 시점과 목적이 환율 변동과 무관하다고 강조했다.

그러나 민주당은 “국회가 강제로 직무를 회피시킬 수밖에 없다”며 공세 수위를 높였다.

이번 논란은 최 부총리의 재산 신고를 계기로 정치적 공방으로 번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