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래픽] 미국 알래스카 LNG 가스관 사업 위치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4일(현지시간) 집권 2기 첫 의회 연설에서 한국 등이 향후 알래스카 천연가스 파이프라인 사업에 참여하는 것을 환영한다는 입장을 밝혔다(사진=연합뉴스)
마이크 던리비 미국 알래스카 주지사는 지난 26일 방한 중 국내외 언론 인터뷰에서 “한국이 알래스카산 LNG를 구매하지 않으면 무역적자 해소와 한국 기업의 선박·파이프 공급에 도움이 되겠나”라며 “LNG 구매가 핵심 열쇠”라고 강조했다.
그는 동맹 관계, 에너지 안보, 경제성을 들어 한국의 알래스카 LNG 프로젝트 참여를 촉구하며,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과의 특별한 관계를 내세워 관세 협상과 연계한 발언도 했다.
이는 단순 주 정부 차원의 세일즈를 넘어 트럼프의 경제·에너지 외교 특사 역할로 해석된다. 그러나 방한 기간 LOI(투자의향서) 체결 등 구체적 성과는 없었다.
안덕근 장관, 마이크 던리비 알래스카 주지사와 면담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25일 서울 중구 플라자호텔에서 마이크 던리비 미국 알래스카주 주지사와 면담하고 있다.(사진=연합뉴스)
한국은 대미 관세 협상 레버리지로 알래스카 LNG 프로젝트를 무시하기 어렵지만, 440억 달러(약 64조 원) 규모의 사업 부담과 불확실성으로 딜레마에 빠졌다.
글로벌 LNG 수입 3위인 한국은 카타르·오만과의 장기계약 종료로 신규 공급처를 모색 중이며, 한국가스공사는 던리비 주지사와 면담을 가졌다.
정부 관계자는 31일 국내 기간 뉴스 통신사인 연합뉴스에 “프로젝트 착공 전이라 도입은 수년 후가 될 것이고, 물량·단가 논의가 더 필요하다”고 밝혔다. 다음 달 2일 미국의 상호관세 조치 윤곽이 드러나면 협상 카드로 활용될 가능성도 제기된다.
그러나 사업비가 국가 예산의 10분의 1에 달하고, 혹한·환경 이슈로 비용 증가 우려가 크다. 엑손모빌, BP 등이 철수한 전례와 탄소중립·지정학적 변수도 리스크 요인이다. 2029~2030년 LNG 생산이 시작되더라도 중동 대비 가격 경쟁력이 관건이다.
정부 관계자는 “논쟁적 프로젝트인 만큼 합리적 가격이 필수”라고 했다.
윤석열 대통령 탄핵 후 국정 공백으로 전략적 결단력이 약화된 점도 문제로, 정부와 업계는 일본의 행보를 주시하며 신중한 판단을 고민 중이다.
에너지 업계 관계자는 “관세 피해와 사업 리스크 사이에서 전략적 선택이 필요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