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장하는 한·일·중 경제통상장관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가운데)이 30일 서울 중구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열린 제13차 한·일·중 경제통상장관회의에 무토 요지 일본 경제산업상(왼쪽), 왕원타오 중국 상무부장과 입장하고 있다.(사진=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4월 2일 상호관세 부과를 예고한 가운데, 한중일 3국 경제통상 장관들이 30일 서울에 모여 안정적 세계 무역 질서를 유지하겠다는 희망을 밝혔다.
이들은 공동성명에서 “규칙 기반의 개방적이고 포용적인 다자무역 체제를 지지한다”며 자유무역 질서의 중요성에 공감대를 형성했다. 특히 그동안 진척이 없던 한중일 자유무역협정(FTA) 추진을 위해 긴밀히 협력하기로 합의하며 향후 논의 가속화에 관심이 쏠린다.
한국의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중국의 왕원타오 상무부장, 일본의 무토 대신은 회의에서 3국 경제협력 확대를 강조했다.
찬성 측인 중국은 한중일 FTA와 한중 FTA 2단계 협상 재개를 적극 제안하며 동북아 경제 통합에 앞장섰다.
왕원타오 부장은 29일 안덕근 장관과의 회담에서 “역내 경제 통합으로 다자무역 체제를 수호하자”고 밝혔고, 이는 트럼프의 ‘관세 전쟁’에 대응해 협력 구심력을 키우려는 의도로 보인다.
반대 측인 한국과 일본은 미중 신냉전 속 중국과의 경제 통합 가속화에 신중한 태도를 보였다.
장상식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통상연구원장은 “중국은 미국 우방국 포위를 뚫기 위해 적극적이나, 한국과 일본은 지정학적 민감성을 고려해 조심스럽다”고 진단했다.
한중일 FTA는 2019년 중단됐으나, 작년 5월 정상회담 이후 재개 합의가 이뤄진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