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책공대에서 늘어나는 원격대학생.(사진=연합뉴스)


◆ 원격교육체계 확대와 노동자 등록 급증

북한이 작년부터 지방공장 건설을 중점적으로 추진하는 가운데, 사이버 교육을 통해 숙련 노동자 확충에 나서고 있다고 30일 밝혔다.

조선중앙통신 등 관영매체는 “올해 수많은 근로자가 전국 대학의 원격교육체계에 새로 등록했다”며 운영 현황을 조명했다.

김책공업종합대학 원격교육학부에는 금속, 기계, 자동화 등 부문에서 “수만 명”이 참여했으며, 2022년 말 1만수천 명이던 전국 수강생은 2023년 5월 13만1천 명으로 늘었다.

북한은 2010년 김책공대에서 시범 도입한 원격대학을 2020년 ‘원격교육법’ 제정으로 법적 기반을 마련하며 전국으로 확대했다.

김책공대에서 늘어나는 원격대학생.(사진=연합뉴스)


◆ ‘지방발전 20×10’과 기술인재 육성

북한의 원격대학은 한국의 사이버대학과 유사하지만, 전공 위주 대신 노동자·농민·기관 종사자 실무 기술 교육에 초점을 맞춘다.

김책공대 외에 한덕수평양경공업대학, 숙천농업대학, 평양의과대학 등이 원격교육학부를 운영 중이다.

이는 ‘지방발전 20×10’ 정책과 연계돼 지방 공장과 편의시설 건설에 필요한 기술인재를 키우려는 의도로 보인다.

노동신문은 지난달 “원격교육체계가 지방공업공장 관리운영을 담당할 기능인재를 양성한다”며 교수진이 근로자의 학습열을 북돋고 있다고 전했다.

북한이 원격교육체계를 개발했다며 2015년 공개한 사진.(사진=연합뉴스)


◆ 교육 접근성과 현실적 한계

북한은 원격대학을 PC나 스마트폰으로 “어디서나” 수강 가능하다고 홍보하지만, 단말기 보급률이 낮은 지방에서는 도·시·군 ‘원격교육거점’과 공장 내 ‘과학기술 보급실’을 통해 교육이 이뤄진다.

조선중앙통신은 “전국 근로자들이 원격교육으로 현대과학기술을 익히며 지식형 근로자로 준비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그러나 지방 인프라 한계로 실질적 효과는 제한적일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