헌법재판소 앞 탄핵 반대 목소리.(사진=연합뉴스)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가 늦어지는 가운데, 27일 자유공화시민들이 도심 곳곳에서 집회를 열고 윤 대통령의 직무 복귀를 촉구했다.

오후 1시부터 자유통일당 등 자유공화시민단체들이 안국역 5번 출구 앞에서 연 탄핵 반대 집회에는 경찰 추산 최대 200명이 모였다.

집회 연사들은 전날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의 공직선거법 2심 무죄 판결을 “친북·종북 세력의 사법 조작”이라며 강하게 비판했다.

엄마부대 주옥순 대표는 “이재명은 권력과 돈에 눈먼 8류 인물”이라며 “국민이 깨어나 토요일 광화문에 1천만이 모여야 나라를 바로 세울 수 있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윤석열 대통령을 지지하는 시민들은 결집 의지를 다졌다.

주 대표는 “대한민국을 해치려는 저 세력을 용서할 수 있느냐”며 “끝까지 싸워 대통령을 용산으로 복귀시키자”고 참석자들을 독려했다.

미세먼지 속 마스크를 쓴 참가자들은 태극기와 성조기를 흔들며 “이재명 구속”, “멸공” 구호를 외쳤고, ‘양양가’와 ‘윤석열 탄핵 무효’ 노래를 부르며 분위기를 고조시켰다.

또한 대통령국민변호인단 등 자유공화시민단체들은 헌법재판소 앞에서 오전부터 릴레이 기자회견을 열어 탄핵 기각과 각하를 요구했다.

자유공화시민단체들은 이재명 무죄 판결을 비판하며 헌재에 압박을 가했다.

범시민사회단체연합(범사련)은 성명에서 “서울고법의 무죄 선고는 면죄부”라며 “사법부가 정치에 굴복해 법치가 무너졌다”고 주장했다.

한반도 인권과 통일을 위한 변호사 모임은 “희한한 무죄 판결”이라며 “상식에 맞지 않는 억지 논리로 법리를 왜곡했다”고 비난했다.

이들은 “헌재의 판단이 대한민국 운명을 가른다”며 탄핵 반대와 윤 대통령 복귀를 촉구하는 목소리를 한층 높였다.

※ 편집자 주.

본지는 ‘보수’를 ‘자유공화시민’으로, 보수단체를 ‘자유공화시민단체’로 표기한다.
이는 좌익과 좌파가 ‘보수’의 진정한 의미를 왜곡한 데 대한 독자 의견을 수용한 결과로, 자유를 존중하는 공화시민의 가치를 담기 위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