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우크라이나 텔레그램 채널에 공유된 북한제 자주포 운송 장면.'크림반도의 바람' 캡처

러시아군이 북한이 제공한 M-1978 ‘곡산’ 자주포를 크림반도를 통해 우크라이나 최전선으로 수송하는 모습이 포착되며 북·러 군사 협력의 실체가 확인됐다.

26일(현지시간) 우크라이나 군사전문매체 디펜스 익스프레스는 크림반도 북부 철도역에서 군용 열차가 통과했다고 보도했다.

열차에는 곡산 자주포 7~8대와 중국제 트럭으로 보이는 차량이 적재돼 있었으며, 일부 분석은 트럭이 170㎜ 포탄 보급용이거나 북한제 M1991 240㎜ 방사포일 가능성을 제기했다. 그러나 트럭 뒷부분이 덮개로 가려져 정확한 식별은 어려운 상황이다.

전쟁 장기화로 포병 손실이 큰 러시아군은 북한 무기를 전선에 투입하고 있다.

곡산 자주포는 쿠르스크와 우크라이나 동부 지역에서 운용 중이며, 지난 한 달간 우크라이나군의 드론과 포격으로 5문이 파괴됐다.

이 자주포는 고폭 파편탄으로 43㎞, 로켓 보조 추진체 사용 시 54~60㎞까지 사거리를 확보할 수 있어 러시아의 화력 보강에 활용되고 있다.

25일에는 도네츠크 지역에서 한 문이 추가로 무력화된 것으로 알려졌다.

북한이 개발한 곡산 자주포는 원래 비무장지대를 넘어 서울을 타격할 목적으로 설계됐다.

러시아는 이 무기를 우크라이나 전선에 배치하며 장비 부족을 메우고 있으며, 지난 10월 이후 북한산 무기 수송이 빈번해진 것으로 관측된다.

북한은 자주포 외에도 단거리 탄도미사일과 포탄을 러시아에 공급하며 협력을 심화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