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김정은, 공중통제기 탑승ㆍ자폭무인기 참관…"무인ㆍAI 최우선"
북한 김정은이 지난 25~26일 새로 개발·생산하고 있는 무인항공기술연합체와 탐지전자전연구집단의 국방과학연구사업을 지도했다고 조선중앙통신이 27일 보도했다.(사진=연합뉴스)
북한이 한국 공군의 공중조기경보통제기 ‘피스아이’와 유사한 정찰 자산을 처음 공개하며 한반도 상공의 군사 균형을 뒤흔들 가능성을 드러냈다.
27일 조선중앙통신은 김정은이 지난 25~26일 무인항공기술연합체와 탐지전자전연구집단을 방문해 국방과학 연구 사업을 지도했다고 보도했다.
이날 공개된 사진 속 김정은은 러시아제 IL-76 수송기를 개조한 공중조기경보통제기에 탑승해 군 간부들에게 지시를 내리고 있었다.
기체 상단에는 원형 레이돔이 장착돼 있으며, 레이돔 내부의 삼각형 문양은 세 방향을 감시하는 고정형 레이더를 의미한다.
북한 김정은, 공중통제기 탑승ㆍ자폭무인기 참관…"무인ㆍAI 최우선"
북한 김정은이 지난 25~26일 새로 개발·생산하고 있는 무인항공기술연합체와 탐지전자전연구집단의 국방과학연구사업을 지도했다고 조선중앙통신이 27일 보도했다. 사진은 북한이 처음으로 공개한 공중조기경보통제기로 보이는 비행기의 내부 모습.(사진=연합뉴스)
북한 매체는 통제기 내부 화면에 한반도 지도가 표시된 점을 강조하며, 이 기체가 공중 작전을 통제할 능력을 갖췄음을 시사했다.
북한은 이와 함께 미국의 글로벌호크(RQ-4)를 닮은 무인정찰기와 자폭 무인기의 성능을 과시했다.
조선중앙통신은 "신형 무인전략정찰기가 지상과 해상의 적군 활동을 추적 감시하며 혁신적인 탐지 능력을 입증했다"고 전했다.
이어 "자폭 무인기들이 전차와 장갑차 등 지상 목표를 타격하는 장면을 통해 다양한 전술 공격 임무를 수행할 수 있음을 보여줬다"고 주장했다.
김정은은 현장에서 무인정찰기의 비행과 자폭 무인기의 타격 실험을 직접 참관하며 "무력 현대화에서 무인장비와 인공지능 기술을 최우선으로 중시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탐지전자전연구집단이 새로 개발한 전자교란공격 체계도 이날 공개된 주요 성과 중 하나였다.
북한 김정은, 공중통제기 탑승ㆍ자폭무인기 참관…"무인ㆍAI 최우선"
북한 김정은이 지난 25~26일 새로 개발·생산하고 있는 무인항공기술연합체와 탐지전자전연구집단의 국방과학연구사업을 지도했다고 조선중앙통신이 27일 보도했다.(사진=연합뉴스)
통신은 "김정은이 정찰 및 정보수집 수단과 전자교란 체계의 성능에 커다란 만족을 표했다"고 보도했다.
그는 "현대 기술이 도입된 이 수단들이 잠재적 위협을 감시하고 적의 전투 수단을 무력화하는 데 큰 위력을 발휘할 것"이라고 자신했다.
북한은 이미 서해와 군사분계선 일대에서 GPS 교란을 꾸준히 시도하며 한미 자산을 겨냥한 전자전 능력을 키워왔다.
북한 김정은, 공중통제기 탑승ㆍ자폭무인기 참관…"무인ㆍAI 최우선"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지난 25~26일 새로 개발·생산하고 있는 무인항공기술연합체와 탐지전자전연구집단의 국방과학연구사업을 지도했다고 조선중앙통신이 27일 보도했다.(사진=연합뉴스)
북한 공군은 과거 미그-15, 미그-17 같은 낡은 전투기 위주로 810여 대를 보유하며 수적 우세를 유지했지만, 현대적 공중전 능력은 거의 전무했다.
이번 통제기와 무인정찰기 공개는 러시아나 중국의 기술 지원이 있었을 가능성을 시사하며, 북한이 한미 공군에 대한 감시와 대응력을 강화하려는 의도로 보인다.
특히 우크라이나전에서 무인기의 활용을 목격한 김정은이 이를 본격 도입하며 군사 전략을 재편하려는 움직임으로 해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