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병주 MBK파트너스 회장.(사진=연합뉴스)
김병주 MBK파트너스 회장이 홈플러스에 물품을 공급하는 소상공인들의 결제대금 지급을 지원하기 위해 개인 재산을 투입한다.
MBK파트너스는 16일 입장문을 발표하며 “홈플러스 회생절차와 관련된 사회적 책임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김 회장은 특히 유동성 위기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소상공인 거래처에 결제대금을 신속히 지급할 수 있도록 재정 지원을 약속했다.
아직 구체적인 출연 규모는 공개되지 않았지만, 홈플러스 측이 소상공인 채권 규모를 파악한 뒤 지원 방안을 확정할 계획이다.
'회생 신청' 홈플러스 예의 주시, 김병주 회장 사재 출연
최근 홈플러스의 기업회생절차(법정관리) 신청으로 임직원 및 협력업체에 대한 피해가 우려되는 가운데 16일 서울의 한 홈플러스 매장 앞으로 시민들이 걸어가고 있다.
이날 홈플러스 주주사인 사모펀드(PEF) 운용사 MBK파트너스 김병주 회장은 홈플러스에 물품을 납입하는 소상공인들이 원활히 결제대금을 지급받을 수 있도록 사재를 출연한다고 밝혔다.(사진=연합뉴스)
홈플러스는 지난달 말 신용등급 하락으로 단기자금 시장에서 자금 조달에 실패하며 유동성 위기에 직면했다.
결국 지난 4일 기업회생절차(법정관리)를 신청했고, 법원은 같은 날 회생 개시 결정을 내렸다.
이 과정에서 협력업체들은 정산 지연으로 불만을 터뜨렸고, 일부 채권자들은 “최대주주 MBK가 자구 노력 없이 채무 탕감만 노렸다”며 강하게 반발했다.
소상공인들 사이에서는 생계 위협에 대한 우려가 커졌고, 홈플러스 매장 영업 정상화에 대한 회의적인 시각도 확산됐다.
김 회장의 사재 출연 결정은 이러한 불안과 반발을 잠재우기 위한 긴급 조치로 해석된다.
MBK는 입장문에서 “홈플러스 회생절차로 인해 1만9천 명 임직원과 6천여 상거래처 등 이해관계자들에게 심려를 끼친 점 깊이 사과드린다”며 “홈플러스가 회생절차를 조속히 졸업하고 정상 궤도에 오를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다짐했다.
이어 회생절차 신청이 불가피했다고 주장하며, “갑작스러운 유동성 위기로 부도를 막으려면 선제적 조치가 필요했다”고 설명했다.
특히 지난해 티메프(티몬+위메프) 사태로 대규모 지급불능과 사회적 혼란이 발생한 점을 언급하며 “홈플러스가 정상 운영을 이어가야 채권자 채무 변제도 가능하다”고 강조했다.
'회생 신청' 홈플러스 예의 주시, 김병주 회장 사재 출연
최근 홈플러스의 기업회생절차(법정관리) 신청으로 임직원 및 협력업체에 대한 피해가 우려되는 가운데 16일 서울의 한 홈플러스 매장 앞으로 시민들이 걸어가고 있다.
이날 홈플러스 주주사인 사모펀드(PEF) 운용사 MBK파트너스 김병주 회장은 홈플러스에 물품을 납입하는 소상공인들이 원활히 결제대금을 지급받을 수 있도록 사재를 출연한다고 밝혔다.(사진=연합뉴스)
MBK는 회생법원 보호 아래 홈플러스가 안정적으로 운영되도록 지원할 방침이다.
MBK 관계자는 “전자단기사채(ABSTB) 등 매입채무유동화 관련 채권자들과의 협의도 원만히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이어 “주주사로서 비판과 질책을 겸허히 받아들이며, 홈플러스 정상화를 위해 모든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약속했다.
이어서 “국민 여러분의 격려와 성원을 간곡히 부탁드린다”며 이번 조치가 소상공인과 채권자들의 신뢰를 회복하고 홈플러스의 존속 가능성을 높일 수 있기를 바란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