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반도체 (PG).(사진=연합뉴스)
국내 AI 반도체 업체들이 최근 정부의 ‘전략물자’ 지정으로 수출 허가를 받아야 하는 상황에 직면하며 대응에 나섰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지난달 말 ‘전략물자 수출입 고시’ 개정안을 통해 AI 반도체를 양자컴퓨터, 3D 프린팅 장비와 함께 전략물자로 포함시켰다.
여기에 미국의 대중 반도체 수출 통제까지 겹치며, 해외 시장을 노리는 기업들이 16일 조직 정비와 전문가 자문에 돌입했다.
온디바이스 AI 반도체 전문기업 딥엑스는 사내 생산전략팀, 법무팀, 영업팀으로 구성된 자율 수출관리 기구를 신설했다.
아직 양산 제품 출시 전이지만, 해외 구매자의 샘플 칩 요청이 늘면서 수출 가능 여부를 검토하기 위해서다.
딥엑스는 샘플 발송 대상이 국제 수출통제체제의 우려 거래자인지 확인하고, 위험도를 점검해 이를 미국 등 해외 법인과 공유하는 시스템을 구축 중이다.
회사 관계자는 “6월 ‘자율준수무역거래자 AA등급’ 취득을 목표로 준비하고 있다”며 “수출 심사 기간 단축과 서류 간소화를 통해 경제 안보를 지키며 수출을 준비한다”고 밝혔다.
메타 인수설로 주목받은 퓨리오사AI도 전략물자 지정에 따른 대응책을 마련하고 있다.
퓨리오사AI의 AI 반도체 ‘워보이’와 ‘레니게이드’ 중 400억 개 이상의 트랜지스터를 집적한 레니게이드는 미국 상무부의 대중 수출규제 대상에 해당한다.
미국은 지난 1월 개정한 수출관리규정(EAR)을 통해 러시아, 중국, 북한 등 22개국으로의 AI 반도체 수출에 허가를 요구하며, 칩 면적당 연산 능력을 기준으로 규제한다.
퓨리오사AI는 이에 맞춘 전략을 검토 중이다.
중동 시장 공략을 위해 사우디아라비아 법인 설립을 준비 중인 리벨리온도 수출규제 대응에 나섰다.
리벨리온 관계자는 “국내외 통상 전문가 자문을 받아 양산 중인 ‘아톰’과 출시 예정인 ‘리벨’ 제품군별 규제 적용 수준을 확인하고 있다”며 “변화하는 규제 환경에 준수하며 사업 방향성을 논의 중”이라고 전했다.
업계 또 다른 관계자는 “AI 반도체 규제가 강화되며 기술개발 외에 고려할 요소가 늘었다”고 토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