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세안+3 거시경제조사기구(AMRO)는 6일 2024년 한국 연례협의 결과를 발표했다.
AMRO(ASEAN+3 Macroeconomic Research Office)는 아세안+3 경제동향을 분석·점검하고, 회원국 경제·금융안정을 지원하는 국제기구로, 2011년 싱가포르에 설립되었다. AMRO는 협정문 제5조 규정에 의해 회원국과 연례협의를 실시한다.
금년 연례협의를 위해 수미오 이시카와 단장 등 총 8명의 연례협의단이 11월 14일부터 29일까지 방한하여 기획재정부, 한국은행, 금융위원회, 한국개발연구원(KDI) 등 정부기관 및 연구소와 면담을 실시했다.
다음은 2024년 한국 연례협의 결과를 정리한 내용이다.
◆ 한국: 성장을 지원하며 안정성을 보호
올해 한국 경제는 수출 호조에 힘입어 개선되는 가운데 인플레이션은 하락 추세를 이어가고 있다. 단기적으로는 반도체 경기 하락과 대외 수요 약화, 특히 미국의 보호무역 정책 강화가 예상됨에 따라, 수출 모멘텀이 둔화되는 가운데 내수가 회복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 한편, 대출자들은 팬데믹으로 인한 경기침체 여파와 이자 부담으로 계속 압박을 느끼고 있으며, 부동산 부문 프로젝트파이낸싱(PF) 대출에 더 많이 노출된 저축은행들은 여전히 위험요인을 갖고 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할 때 거시경제정책은 금융 시스템 안정을 유지하면서 성장을 뒷받침할 수 있도록 재조정되어야 한다.
▶ 경제 동향 및 전망
이시카와 박사는 "한국 경제는 2024년 2.2% 성장한 뒤, 2025년에는 글로벌 경제 환경, 특히 미국 무역정책에 대한 높아지는 불확실성을 반영해 1.9%로 성장세가 둔화될 것으로 전망된다. 이에 따라 금융 안정을 지키면서 성장을 뒷받침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경계심을 가지고 거시경제 정책 조합을 재조정해야 한다"고 말했다. 내수는 통화 여건 완화와 제조업 투자 회복으로 회복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되는 반면, 수출 모멘텀은 반도체 사이클의 하락, 특히 미국의 관세 인상 가능성을 감안할 때 둔화될 것으로 보인다. 인플레이션 압력은 국내 식품 가격의 안정과 글로벌 에너지 가격의 완화로 인해 억제될 것으로 예상된다. 인플레이션은 올해 2.3%, 내년 1.8%로 전망된다.
중소기업과 자영업자에 대한 대출의 신용 품질은 팬데믹 경기 침체로부터의 회복이 미약하다는 점으로 인해 계속 악화되고 있다. 하지만, 은행과 비은행금융기관의 자본 적정성 비율이 규제 기준을 훨씬 상회하고 은행의 유동성 자금이 충분하여, 금융 시스템은 여전히 건전하다. PF 해결을 위한 종합 대책도 마련되어 있다.
재정 적자는 법인세 감소에 따른 세수 감소로 확대되었다. 재정 지출은 예상보다 적게 증가했는데, 이는 주로 지방 정부 및 교육에 대한 의무 이전이 감소했기 때문이다. 사회보장기금을 제외한 2024년 재정 적자는, 2024년 예산상 적자 3.6%와 2023년 실제 적자 3.6%보다 더 높을 것으로 추정된다. 재정 기조는 약간 확장적이었는데, 이는 내수 부진을 고려할 때 적절하다.
▶ 위험요인과 취약점
중동 분쟁이 더욱 격화되면 에너지 가격과 운송비가 상승할 수 있다. 한편, 기상이변으로 인해 농업 생산에 차질을 빚으면 식량 가격이 상승할 수 있으며, 인플레이션 압력은 유류세와 전기 요금 조정에 따라 영향을 받을 수 있다. 미국, 유럽, 중국의 급격한 성장 둔화는 글로벌 수요를 위축시켜 한국의 수출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또한 차기 미국 행정부가 수입 관세를 대폭 인상할 경우 한국의 수출 전망은 악화될 수 있다.
중소기업, 소상공인, 자영업자, 저소득 가구의 채무 상환 능력은 팬데믹의 상흔을 반영하듯 여전히 취약하다. 은행 부문의 신용 품질은 안정되었지만 비은행 예금취급기관의 연체율은 상승하고 있다. 부실우려가 있는 부동산 PF 대출의 상당 부분을 지원해준 저축은행 부문에 리스크가 존재한다. 특히 지방의 미분양 증가로 인해 많은 시행사의 재정이 압박을 받으면서, 일부 저축은행의 재정 완충력이 부실채권(NPL) 급증을 충분히 흡수하지 못할 수 있다.
▶ 정책 권고
인플레이션이 단기적으로 더 완화될 것으로 예상되므로 내수 회복을 지원하기 위해 통화정책의 긴축 정도를 지속적으로 완화하는 것이 적절할 것이다. 정책금리 인하는 가계 대출 증가로 이어질 수 있지만, 기존 대출자의 부채 부담을 완화하고 내수를 진작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또한 금리 인하는 문제가 있는 PF 프로젝트에 참여한 시행사, 건설사, 비은행금융기관의 자금 여건을 완화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비은행금융기관에 대한 완충장치 및 리스크 관리 강화가 필요하다. 저축은행과 신용협동조합은 사업성이 없는 PF 프로젝트는 적극적으로 청산하고, 사업성이 있는 프로젝트에 대해서는 회생계획을 수립하며, 충당금 적립과 유동성 자금을 늘려야 한다. 또한 비은행금융기관의 리스크 관리 및 신용평가를 강화해야 한다.
거시건전성 조치는 더욱 세밀하게 조정되어야 한다. 투기 지역에 여러 채의 주택이나 부동산을 소유한 대출자에 대해 현재의 엄격한 담보인정비율은 유지되어야 한다. 그러나 실수요를 지원하기 위해 생애 최초 주택 구입자에 대한 담보인정비율 정상화를 검토할 필요가 있다.
재정의 지속가능성을 보장하기 위한 지속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팬데믹 이후 축소된 재정 여력을 감안할 때, 재정 여력을 재건하고 GDP 대비 부채비율을 안정시키기 위해서 중기 재정 통합 프로그램이 신중하게 추진되어야 한다. 장기적으로는 재정 규율을 강화하고 세입 증대 및 지출 구조조정 조치를 시행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다음은 2024년 한국 연례협의 결과 보도자료 원문이다.
Korea: Supporting Growth While Safeguarding Stability
SINGAPORE, December 6, 2024 – Inflation has continued to trend down while the Korean economy has improved this year on the back of strong exports. In the near term, domestic demand is expected to pick up while export momentum moderates with the downswing in the tech cycle and weaker external demand, especially in light of expected heightening of the US protectionist trade policy. Meanwhile, interest burden and scarring effects of the pandemic continue to exert pressure on borrowers, and pockets of risk remain in savings banks, which are more exposed to project finance (PF) loans in the real estate sector. Given these considerations, macroeconomic policies should be recalibrated to support growth while maintaining financial system stability.
This is according to the preliminary assessment by the ASEAN+3 Macroeconomic Research Office (AMRO) after its Annual Consultation Visit to Korea from November 14-29, 2024. The AMRO team was led by Lead Economist Sumio Ishikawa, while AMRO Director Kouqing Li and Chief Economist Hoe Ee Khor participated in the policy meetings. The discussions focused on Korea’s recent economic developments and outlook, risks and vulnerabilities, and policy responses.
Economic developments and outlook
“The Korean economy is forecast to grow at 2.2 percent in 2024 before moderating to 1.9 percent in 2025, reflecting increased uncertainty in the global economic environment, especially regarding the US trade policy,” said Dr. Ishikawa. Such uncertainty calls for continued vigilance and recalibration of macroeconomic policy mix to support growth while safeguarding financial stability.”
Domestic demand is expected to pick up with the easing of monetary conditions and a recovery in manufacturing investment while export momentum moderates with the downturn in the semiconductor cycle, especially in light of potential increases in US tariffs. Inflationary pressure is expected to remain contained on the back of stable domestic food prices and moderation in global energy prices. Inflation is estimated at 2.3 percent this year and 1.8 percent next year.
Credit quality, particularly of loans to SMEs and self-employed business operators, continues to deteriorate, reflecting weak recovery from the pandemic downturn, although the financial system remains sound, with capital adequacy ratios of banks and non-bank financial institutions(NBFIs) well above regulatory standards and ample liquidity buffers among banks. Comprehensive measures have been put in place to ensure orderly PF resolution.
The fiscal deficit widened on the back of a decline in tax revenue, driven by lower corporate income tax. Fiscal spending has risen less than expected, largely due to reduced mandatory transfers to local governments and education. The fiscal deficit in 2024, excluding social security funds, is estimated to be higher than the budgeted deficit of 3.6 percent in 2024 and the actual deficit of 3.6 percent in 2023. The fiscal stance was slightly expansionary, which was appropriate given the weakness in domestic demand.
Risks and vulnerabilities
Further escalation of conflicts in the Middle East could push up energy prices and shipping costs. Meanwhile, extreme weather conditions can disrupt agricultural production and drive up food prices. Inflationary pressure remains subject to adjustments to fuel tax and electricity prices.
A sudden growth slowdown in the US, Europe, or China may dampen global demand and affect Korea’s exports. The country’s export prospects may also be eroded by significant increases in import tariffs by the incoming US administration.
The debt servicing ability of SMEs, small merchants, self-employed business operators, and low-income households remains weak, reflecting the scarring effects of the pandemic. Although the banking sector’s credit quality has stabilized, non-bank deposit-taking institutions have been experiencing a rise in delinquency.
There are pockets of risk in savings banks, which have financed a significant portion of troubled PF loans in the real estate sector. Some savings banks’ financial buffers may be insufficient to absorb a surge in NPL, particularly as the increase in unsold units in regional areas has strained the finances of many developers.
Policy recommendations
As inflation is expected to further moderate in the near term, a continued dial-back in the restrictiveness of monetary policy would be appropriate to support the recovery in domestic demand. Although the policy rate reduction may lead to an increase in household borrowing, it can help alleviate households’ debt burden for existing borrowers and spur domestic demand. The lower interest rates can also help ease financial conditions for developers, construction companies, and NBFIs involved in troubled PF projects.
Stronger buffers and enhanced risk management are necessary for NBFIs. Savings banks and credit cooperatives should actively liquidate non-viable PF projects, develop rehabilitation plans for viable ones, and increase provisions and liquidity buffers. Moreover, NBFIs’ risk management and credit assessment should be strengthened.
Macroprudential measures should be further finetuned. The currently tight loan-to-value ratio for borrowers owning multiple homes or properties in speculative zones should be maintained. However, to support real housing demand, normalizing the ratio for first-time buyers should be considered.
Continued efforts are needed to ensure fiscal sustainability. Given the narrowed fiscal space post-pandemic, a medium-term fiscal consolidation program would be prudent to rebuild fiscal space and stabilize the debt-to-GDP ratio. Over the longer term, it is essential to strengthen fiscal discipline and implement revenue-enhancing and spending-restructuring measures.
저작권자 ⓒ 프리덤조선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