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밀·보리 작황 성과 강조하며 식량구조 다변화 시도

- 옥수수→밀 대체 추진…노동신문 "알곡생산구조 전환 성과"

한강 승인 2024.06.16 10:51 | 최종 수정 2024.06.16 10:52 의견 0
2022년 북한에서 열린 밀가루음식전시회
북한 조선중앙통신은 평양면옥에서 밀가루음식전시회가 개막했다고 지난 2022년 12월 보도했다. 평양 시내 급양봉사단위들, 식료공장들 가운데서 선발된 70여개의 단위가 참가한 전시회에서는 밀가루음식 전시, 밀가루가공품 전시와 우수한 요리사들의 시범출연이 진행되고 있다고 통신은 전했다.연합뉴스


북한이 옥수수 중심의 식량 구조를 쌀과 밀·보리 등으로 다변화하려는 노력의 일환으로 올해 전례 없는 밀·보리 작황을 보이며 성과를 선전하고 있다.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은 16일 "각지 농촌들에 펼쳐진 예년에 없이 흐뭇한 밀, 보리 작황"을 소개하는 기사를 1면에 게재했다.

신문은 "당이 펼친 웅대한 설계도 따라 사회주의 농촌 건설에서 세기적 변혁이 일어나고 있는 가운데 나라의 알곡생산구조를 바꾸고 벼와 밀농사를 강하게 추진할 데 대한 당 정책 관철에서도 괄목할 만한 성과가 이룩되고 있다"고 밝혔다.

구체적으로 "올해 전국적으로 지난해보다 1만5천여 정보(1정보는 3천평), 그 전해인 2022년에 비해서는 3만5천600여 정보나 더 늘어난 밀, 보리 포전에서 많은 알곡을 증산하여 국가알곡생산계획을 훨씬 넘쳐 수행할 것으로 예견된다"고 주장했다.

이어 "농촌 어디서나 들려오는 예년에 없는 밀, 보리 작황 소식은 당 결정 관철의 뚜렷한 성과를 안고 당 중앙위원회 제8기 제10차 전원회의를 떳떳이 맞이하기 위해 과감히 떨쳐나선 온 나라 인민들에게 필승의 신심과 낙관을 백배해주고 있다"고 덧붙였다.

북한 김정은은 2021년 말 개최된 노동당 제8기 4차 전원회의에서 "인민의 식생활 문화를 흰쌀밥과 밀가루 음식 위주로 바꾸겠다"며 '알곡생산구조' 전환을 선언했다. 기존 북한 주민들의 주식이던 옥수수를 대체할 식량으로 밀을 제시한 것이다.

농촌진흥청이 지난해 발표한 '2023년도 북한 식량작물 생산량 추정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북한의 밀·보리 생산량은 22만 톤으로 전년도보다 22.2% 증가했다.

북한이 밀 농사를 확대하고 나선 데는 대북제재와 국경봉쇄로 비료 수입이 여의찮은 상황에서 밀이 옥수수보다 비료가 적게 들고 이모작도 가능한 작물이라는 점이 영향을 미쳤을 수 있다.

수입에 의존해왔던 밀가루 가격의 폭등, 주민들의 식성 변화 등도 배경으로 거론된다.

저작권자 ⓒ 프리덤조선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