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은, 김씨 왕조의 30년 대미 관계 정상화 정책 포기
- 미들베리연구소 "北, 대미정책 실패 판단…중러 관계 재조정"
- 金에 스포트라이트…北, 중국에 '다른 선택권 있다' 메시지 보여주려해
- CNN 방송 "푸틴 악영향, 동아시아에 도달…세계에 북한 위협 강화"
고철혁
승인
2023.09.13 11:20
의견
0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정상회담에 나선 북한 김정은이 지난 30년간 추진해온 미국과의 관계 정상화를 포기하고 근본적인 정책 변화를 꾀하고 있다는 분석이 제기됐다.
미국 미들베리국제연구소의 로버트 L. 칼린 연구원과 지그프리드 헤커 교수는 12일(현지시간) 외교 전문지 포린폴리시에 기고한 글에서 이같이 진단했다.
이들은 "러시아를 향한 김정은의 행보는 30년간의 대미 관계 정상화 노력을 포기한 근본적인 정책 변화의 결과"라며 "북한이 1990년부터 2019년까지 얼마나 끈질기게 관계 정상화를 추구했는지를 이해하지 못한다면 현재 정책 변화의 속뜻과 의미도 이해할 수 없다"고 밝혔다.
이들은 "냉전이 끝날 무렵 (북한) 통치 왕조의 창시자인 김일성은 붕괴하는 구소련과 고압적인 중국의 그늘에서 벗어나는 정책을 공식화했고, 그의 아들 김정일은 대미 관계 정상화와 핵 개발이라는 병진 노선을 채택함으로써 김일성의 정책을 따랐다"고 설명했다.
이어 김정은도 선대의 정책을 이어받아 핵·미사일 프로그램 고도화와 대미 협상을 함께 추진했으나 2019년 하노이 북미 정상회담 실패 이후 근본적인 정책 변화를 모색한 것으로 보인다고 이들은 분석했다.
2002년 러시아서 회담하는 김정일과 푸틴
북한 김정은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러시아 극동 아무르주에 위치한 보스토치니 우주기지에서 회담할 것이라고 12일(현지시간) 일본 교도통신이 러시아 소식통을 인용해 보도했다. 회담 뒤 두 정상은 인근 하바롭스크주 산업도시 콤소몰스크나아무레의 수호이 전투기 생산 공장도 방문할 것으로 보인다. 하바롭스크는 김정은의 부친인 김정일의 실제 고향으로, 김정일도 2001년과 2002년 콤소몰스크나아무레를 다녀갔다. 사진은 2002년 8월 23일 블라디보스토크에서 회담하는 김정일(왼쪽)과 푸틴.연합뉴스
칼린 연구원과 헤커 교수는 "(하노이 회담 때) 김정은은 자신의 제안을 미국이 거부하자 화가 났고 당황했다"면서 조 바이든 행정부 출범 이후 핵·미사일 도발을 강화하면서 근본적인 정책 변화의 징후를 보여줬다고 진단했다.
이들은 "이후 북한은 이웃 강대국들(러시아·중국)에 대한 완충 장치로 미국과의 관계 정상화를 추구했던 기존 정책이 완전히 실패했다는 판단을 내렸다"면서 "장기적인 지정학적 흐름에 따라 러시아, 중국과의 관계 재조정이 가장 현실적이고 아마도 안전한 길이라는 결론을 내린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북한이 자국 영공과 비행장, 항구를 러시아 전투기와 해군에 개방하고,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에 대한 북한의 군사적 지원 강화, 러시아의 북한 핵·미사일 지원 강화 수순으로 양국 협력이 진행될 것으로 예상했다.
이와 함께 김정은이 북러 정상회담을 통해 중국에 외교적 메시지를 던지려 하고,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에 따른 폐해가 동아시아로까지 확장했다는 경고도 제기됐다.
CNN 방송의 프리다 기티스 국제문제 칼럼니스트는 "북러 회담은 김정은의 입지를 강화하는 일종의 국제적 스포트라이트를 제공한다"며 "북한은 중국을 향해선 다른 선택권을 갖고 있다는 메시지를 보여주려 한다"고 말했다.
아울러 "우크라이나와의 불필요한 전쟁에서 이기겠다는 푸틴의 악영향이 이제 동아시아에 도달했다"며 "(북러 회담은) 세계에서 가장 위험한 나라 중 하나(북한)를 이웃 국가들과 나머지 세계에 대한 더한 위협으로 만들 수 있다"고 비판했다.
(연합뉴스 제공)
저작권자 ⓒ 프리덤조선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