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김정은, 핵잠 건조실태 시찰
북한 김정은이 핵 추진 잠수함 건조 실태를 시찰했다고 조선중앙통신이 지난 8일 보도했다.(사진=연합뉴스)
북한이 핵잠수함 건조를 추진한다고 밝혔으나, 미국 전문가들은 이를 실현할 기술적 역량이 없다고 진단했다고 미국의소리(VOA) 방송이 13일 보도했다.
조선중앙통신은 지난 8일 북한 김정은이 핵잠수함 건조 현장을 시찰하며 "해군력의 중대한 혁신"이라고 과시했다고 전했다.
미 해군 예비역 대령 샘 탕그레디 미 해군참모대학 미래전 연구소장은 VOA에 "북한은 독자적으로 핵잠수함을 건조할 능력이 없다"며 "중국도 이를 배우는 데 상당한 시간이 걸렸다"고 밝혔다.
이어 "문제는 원자로"라며 "원자력발전소를 운영하는 국가들도 잠수함용 원자로 설계에 어려움을 겪는다"고 지적했다. 브루스 베넷 랜드연구소 선임연구원은 "잠수함 원자로는 고도 기술로, 러시아의 상당한 도움 없이는 불가능하다"고 말했다.
베넷 선임연구원은 "미국도 컬럼비아급 핵잠수함 건조에 89년이 걸리는데, 북한은 그런 경험과 기술이 없다"고 덧붙였다.
독일 미사일 전문가 로버트 슈무커 박사는 "북한의 SLBM 역량은 러시아 바지선을 활용한 수준으로 매우 제한적"이라고 평가했다.
북한 김정은, 핵잠 건조실태 시찰
북한 김정은이 핵 추진 잠수함 건조 실태를 시찰했다고 조선중앙통신이 지난 8일 보도했다.(사진=연합뉴스)
브래들리 마틴 랜드연구소 수석정책연구원은 "북러 협력으로 12년 내 기술 이전이 가능할 수 있지만, 위협적인 운용까지는 오랜 시간이 걸릴 것"이라고 전망했다.
해리 해리스 전 주한미국대사는 "북한은 외부 지원 없이 핵잠수함을 만들 역량이 없으며, 러시아의 도움은 우크라이나 지원 대가로 가능할 수 있으나 추측일 뿐"이라고 밝혔다.
김정은의 핵잠수함 과시가 실질적 위협으로 이어질지는 미지수다.
전문가들의 회의적 시각 속, 북한 주장의 실효성과 국제 안보에 미칠 영향이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