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방 소초 복원하는 북한군
국방부는 지난 24일 북한이 동부전선 최전방 소초(GP)에서 감시소를 복원하는 정황을 지상 촬영 장비와 열상감시장비(TOD) 등으로 포착했다고 27일 밝혔다. 남북은 2018년 9·19 남북군사합의를 통해 비무장지대 감시초소(GP) 시범 철수를 이행했지만, 북한은 지난 23일 합의 파기를 선언했다. 사진은 북한군이 목재로 구조물을 만들고 얼룩무늬로 도색하는 모습.연합뉴스
미국 정부는 남북한의 군사합의 폐기 움직임에 이은 북한의 비무장지대(DMZ) 병력 및 장비 투입에 대해 "한반도에서의 군사적 긴장과 오판의 위험을 증가시키고 있다"고 비판했다.
미국 국무부 대변인은 27일(현지시간) 연합뉴스의 질의에 대해 보내온 답변에서 이같이 밝히고 "미국은 한국과 여러 채널을 통해 긴밀하고 지속적으로 접촉하며 우리의 동맹이 보조를 맞추도록 할 것"이라고 밝혔다.
대변인은 또 "미국은 군사적 조율과 투명성, 리스크 저감 조치들을 통해 한반도와 전 세계의 군사적 긴장을 관리 및 완화하기 위한 노력을 지지한다"고 강조했다.
이와 함께 "언제나 그렇듯 한국 방어에 대한 미국의 공약은 철통같이 유지되고 있다"고 덧붙였다.
또 국무부 대변인은 최근 북한의 정찰위성 발사에 대해 동맹국 및 파트너 국가들과의 긴밀한 공조 속에 면밀히 평가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우리는 북한과 러시아간 우주 기술 이전 협력의 전개에 대해 주시하고 있다"며 "북한의 우주 개발 프로그램은 지역 및 세계 안보에 영향을 미치며, 우리는 모든 국가가 관련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 결의를 준수할 것을 요구한다"고 말했다.
한국 군 당국에 따르면 북한은 9·19 남북군사합의 전면 파기를 선언한 데 이어 9·19 군사합의에 따라 파괴한 DMZ 내 GP에 병력과 장비를 다시 투입하고 감시소를 설치 중인 것으로 드러났다.
(연합뉴스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