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세대 소형위성 2호 임무 상상도.KAIST 제공
한국형 발사체 누리호에 실린 차세대 소형위성 2호가 2년간의 우주 임무를 성공적으로 마쳤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 우주연구원은 25일 지난 2023년 5월 25일 나로우주센터에서 발사된 소형위성 2호가 궤도상 기술 검증 임무를 완료했다고 밝혔다.
소형위성 2호는 KAIST가 국산화한 영상 레이다(SAR) 기술로 전천후 지구관측을 수행했다.
SAR는 빛과 구름 영향을 받지 않아 한반도처럼 강우가 빈번한 지역 감시에 유용하다.
위성은 하루 3~4회 영상 촬영으로 1천200회 이상 관측을 완료했으며, 현재도 성능이 양호해 임무를 지속한다.
밀른 빙붕의 호수 면적 확장 영상.KAIST 제공
KAIST는 극지연구소, 국립공원연구원과 협력해 북극 빙권과 산림 변화를 촬영했다.
극지연구소는 소형위성 2호와 유럽 우주청 센티넬-1호 데이터를 융합해 캐나다 밀른 빙붕의 얼음 호수 면적이 2021~2025년 15㎢ 증가했다고 밝혔다.
이는 북극 기후변화 가속화 신호로 분석된다.
위성 영상은 생물계절 변화, 산림 고사, 산사태, 산불 감시에도 활용된다.
KAIST는 우주항공청 지원으로 데이터를 표준화하는 시스템을 개발 중이다.
한재흥 원장은 “100㎏급 소형위성의 SAR 탑재는 국내 위성기술 경쟁력 강화를 의미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