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영돈TV 캡처

부정선거 논란은 2020년과 2022년 총선 및 대선에서 통계 이상으로 촉발된 민감한 사안이다.

지난 26일 부정선거부패방지대(이하 부방대)는 서울 삼각지 인근에서 부정선거 규탄 출정식을 개최했다.

이영돈 PD는 출정식에서 지원 연설을 통해 부정선거의 심각성을 강하게 비판했다.

그는 부정선거가 7년 이상 조직적으로 이루어졌다고 주장하며 시민 행동을 촉구했다.

◆ 부방대 출정식...부정선거 규탄의 시작

부방대는 부정선거 의혹을 규명하기 위해 결성된 시민단체다.

삼각지 인근에서의 출정식은 오는 6월 대선을 앞두고 부정선거 방지 운동의 첫걸음이었다.

부방대는 선거관리위원회의 투명성 부족과 조작 의혹을 집중적으로 제기했다.

출정식은 시민과 언론의 관심 속에서 부정선거 논란을 공론화하는 계기가 됐다.

이영돈 PD 연설...“조직적 부정선거의 실체”

이영돈 PD는 “부정선거가 7년 넘게 조직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며 충격을 전했다.

이어 “붙은 투표지와 같은 조작 흔적을 발견하며 선관위의 조직적 부정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이 PD는 “선거인 명부 확인이 불가능해 외국인 개입 여부를 알 수 없다”며 “2014년까지 공개 모집으로 투명했던 선거가 이후 비공개로 전환됐다”고 지적했다.

이어 “통계 자료가 부정선거를 증명하며 학계의 반박이 없다”고 주장하며, “선관위 산하 교수들이 통계 이상을 정당화하려 하지만 신뢰를 잃었다”고 비판했다.

또한 “대선에서 220만 표가 조작되고 0.74%가 추가됐다”고 폭로했다. 이어 “2025년 대선은 최소 300만 표 이상 조작을 시도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 부정선거 대응...국민의힘과 시민의 역할

이 PD는 “선관위와 대법원, 검경, 헌재가 부정선거를 보호하는 카르텔”이라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국민의힘 국회의원들이 부정선거에 눈을 떠야 한다”고 강력히 촉구했다.

이 PD는 “6월 4일 선거 결과가 통계적 부정을 드러내면 4.19 혁명이 필요하다”고 강조하며, “시민이 기록하고 힘을 합쳐 부정선거를 뿌리 뽑아야 한다”며 단결을 호소했다.

부정선거 논란은 민주당 중심의 정치 구조를 뒤흔들 잠재적 뇌관으로 떠오르고 있다.

부방대의 출정식은 부정선거 규탄과 국민 행동의 필요성을 다시금 환기시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