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출입 화물이 쌓여 있는 부산항.연합뉴스


세계 이코노미스트들이 한국의 올해 성장률 전망치를 1.6%로 낮췄다고 블룸버그통신이 13일 보도했다.

이코노미스트 39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 조사 결과, 중간값이 기존의 1.8%에서 1.6%로 하향 조정됐다. 또한, 올해 한국의 물가상승률은 2%로 예상되며, 이는 기존 예상치 1.9%보다 약간 높은 수준이다.

한국은행은 지난달 국내총생산(GDP) 성장률 전망치를 기존 1.9%에서 1.6%~1.7%로 하향 조정했으며, 이는 수출 둔화와 소비 침체, 정치적 혼란 등을 이유로 들었다. 특히 윤석열 대통령의 계엄령 선포 이후 발생한 정치적 혼란이 주요 원인으로 꼽혔다.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한국은행에서 열린 금융통화위원회 기준금리 결정에 관한 기자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연합뉴스


한국은행은 오는 25일 금융통화위원회를 열어 기준금리 조정 여부를 결정할 예정이며, 금리 인하 여부에 대한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는 최근 블룸버그TV 인터뷰에서 경기부양 역할과 원화 가치 보호 의지를 강조하며, 금리 인하가 불가피한 것은 아니라고 밝혔다.

옥스퍼드 이코노믹스의 아담 샘딘 이코노미스트는 "미국의 무역 정책과 환율 불확실성, 인플레이션 우려로 인해 한국은행 금리 인하 예상 시점이 2월에서 뒤로 밀렸다"면서 "국내 경제성장의 비중을 고려할 경우 이달에 예상보다 빨리 금리를 내릴 가능성은 남아 있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