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군함에 접근하는 미국 군함.(사진=연합뉴스)


미국 국방부가 중국의 대만 침공 저지를 최우선 목표로 삼은 가운데, 브루킹스연구소 앤드루 여 한국 석좌는 31일(현지시간), 트럼프 정부가 윤석열 대통령 정부에 대만 방어 지원 강화를 압박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여 석좌는 한나 포어먼과 함께 연구소 홈페이지 글에서 “트럼프의 대중국 강경파가 동맹국에 대만 지원을 밀어붙일 가능성이 높다”고 전망했다.

그는 “대만해협 비상사태 시 미국은 한국이 한미 동맹에 강력한 지지를 약속하도록 요구할 수 있다”며 “트럼프 정부가 인도·태평양을 우선시하는 만큼 한국도 대만을 포함한 지역에서 더 큰 역할을 준비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어 “대만 분쟁은 한반도 리스크를 높인다”며 한미가 ▲주한미군 전략 유연성 정의 ▲대만 위기 시 한국 군사 기여 ▲대만해협 평화·억제 방안을 논의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여 석좌는 “2006년 이후 주한미군 배치 방안이 업데이트되지 않았다”며 평택·오산·군산 기지의 대만 위기 활용과 북한 도발 대비 방안을 구체화할 필요성을 강조했다.

한국의 군사 기여로는 정보 공유, 물류 지원, 무기 제공 등이 가능하다고 보았다. 다만, 트럼프가 한국을 배제하고 북한 김정은을 만나거나 주한미군 철수를 요구하면 대만 문제 지지가 약화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