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일 등 11개국 참가한 대북 감시 기구 출범
김홍균 외교부 1차관이 16일 오후 정부서울청사 별관 외교부에서 대북제재 관련 대외발표를 하고 있다.
김 차관 뒤로는 커트 캠벨 미 국무부 부장관, 오카노 마사타카 일 외무성 사무차관을 비롯해 다국적제재모니터링팀(MSMT·Multilateral Sanctions Monitoring Team) 참여국 주한 대사들이 서 있다.연합뉴스
북한은 한·미·일 등이 만든 대북제재 감시기구인 다국적제재모니터링팀(MSMT)에 대해 "존재명분과 목적에 있어서 철저히 불법적이고 비합법적이며 범죄적인 유령집단"이라고 깎아내렸다.
외무성 대외정책실장은 24일 발표한 담화에서 MSMT의 활동에 대해 '시대 착오적 망동', '대북제재모략책동' 등이라고 비판한 뒤 '무거운 대가'를 운운하며 "단호한 행동으로 강력히 대응해나갈 것"이라고 위협했다.
특히 대외정책실장은 "더 이상 덜어버릴 제재도, 더 받을 제재도 없는 우리에게 있어서 협상을 통한 제재 해제는 이미 오래전부터 관심사가 아니"라고 주장했다.
이어 "미국의 야만적 제재는 우리로 하여금 가장 가혹한 외부적 환경 속에서도 생존하고 자생하며 강해질 수 있는 방법을 보다 완벽하게 터득하도록 해주었다"며 "누구도 무시할 수 없는 강대한 힘의 비축을 그 무엇보다 서두르게 한 결정적 요인"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우리는 결코 제재 따위에 연연하지 않을 것"이라며 "제재 도구를 만지작거릴수록 우리가 아니라 오히려 자신이 힘들어지고 불편해지게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북한은 2019년 2월 하노이 노딜 이후 제재 해제와 비핵화 조치를 맞바꾸는 방식의 협상은 하지 않겠다고 밝혀왔는데, 이런 의사를 재확인한 것이다.
이에 대해 외교부 당국자는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대북제재 결의 등 국제법을 거리낌 없이 지속 위반하고 있는 북한이 유엔 회원국의 의무인 안보리 결의를 충실히 이행하기 위한 회원국들의 자발적인 노력을 불법적·비합법적이라고 주장하는 것은 자기 모순이며 어불성설"이라고 반박했다.
그러면서 "우리는 앞으로도 MSMT 활동에 적극적인 참여를 포함해 유엔 대북제재 결의의 충실한 이행을 위해 국제사회와의 협력을 지속 강화해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MSMT는 러시아의 반대로 해체된 유엔의 대북 제재 감시 기능을 대신 수행하기 위해 한미일 등 11개국이 지난해 10월 발족한 새 대북 제재 감시기구로, 지난 19일 워싱턴 D.C.에서 첫 회의를 열고 본격적인 활동에 돌입했다
(연합뉴스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