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3일(현지시간) 수입 자동차 부품에 25% 관세를 부과하며 한국 자동차 부품업계에 미칠 영향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2년간 관세를 일부 완화한다고 밝혔지만, 대미 수출 비중이 36.5%에 달하는 한국 업계는 타격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미국 트럼프 정부 외국산 자동차부품 관세 발효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외국산 자동차 부품에 부과하기로 한 25% 관세가 3일(현지시간) 공식 발효됐다.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에 완성차 생산시설을 가진 자동차 제조업체의 부담을 줄여주기 위해 지난달 29일 수정된 포고문을 통해 2년간 자동차 부품에 대한 관세를 일부 완화하는 조치를 발표한 바 있다.(사진=연합뉴스)
외신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이 지난 3월 26일 포고문에서 예고한 대로 3일 오전 0시 1분(한국시간 오후 1시 1분)부터 자동차 부품 관세가 시행됐다.
대상 품목은 미국무역대표부(USTR)의 국제상품분류체계(HTS) 기준 332개로, 전동화 부품(30억달러), 새시·구동축 부품(30억달러), 전자·전기 부품(25억달러) 등이 포함된다.
미국 자동차 부품 수입 품목별 한국 비중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3일(현지시간) 외국산 자동차에 이어 자동차 부품에도 25% 관세를 부과하면서 국내 업계에 미칠 여파에 관심이 쏠린다.
한국무역협회에 따르면 미국의 자동차 부품 수입 가운데 한국의 비중은 지난해 기준 6.4%이며 금액으로는 135억달러(약 19조원)에 달한다.(사진=연합뉴스)
한국의 대미 자동차 부품 수출은 2024년 기준 135억달러(약 19조원)로, 미국 수입 부품의 6.4%를 차지한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달 29일 수정 포고문을 통해 올해 4월 3일부터 내년 4월 30일까지 미국 조립 자동차 가격의 15%에 해당하는 부품에 관세를 면제하고, 2025년 5월 1일부터 2027년 4월 30일까지 10%에 해당하는 부품에 면제를 적용한다.
이는 미국 자동차업체와 노동계 반발에 따른 조치로, 한국 업계는 최악의 시나리오를 피했다는 평가다.
자동차 부품 공장의 근로자. (사진=연합뉴스)
한국무역협회 관계자는 “공급망 특성상 미국 국경을 넘을 때마다 관세가 부과되면 부담이 커진다”며 수출 감소 가능성을 언급했다.
그러나 김경유 산업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미·중 무역 갈등으로 중국산 부품에 60% 이상 관세가 부과되면 한국 부품이 대체 수입선으로 반사이익을 얻을 수 있다”고 전망했다.
전윤식 무협 수석연구원은 “트럼프 정책의 변동성이 큰 만큼 수출 다변화 등 대응 전략이 필요하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