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TS 정국.(사진=연합뉴스)

한류를 접한 외국인들이 '한국'을 떠올릴 때 8년 연속 'K-팝'을 첫 이미지로 꼽으며 한국 문화의 위상이 재확인됐다.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국제문화교류진흥원이 7일 발표한 '2025 해외 한류 실태조사'(2024년 기준)에 따르면 한류 콘텐츠 경험자 중 17.8%가 K-팝을 한국의 대표 이미지로 응답했다.

이어 한식(11.8%), 드라마(8.7%), 뷰티제품(6.4%), 영화(5.6%)가 뒤를 이었고, IT 제품·브랜드(5.1%)는 2012년 이후 처음 5위권 밖으로 밀렸다.

K-팝 가수 중 방탄소년단(BTS)이 24.6%로 7년 연속 1위, 블랙핑크가 12.3%로 6년 연속 2위를 차지하며 독주를 이어갔다.

한국 연상 이미지(2012-2024) 조사 결과.


한류 콘텐츠 호감도는 70.3%로 전년(68.8%)보다 1.5%포인트 상승했으며, 새로 추가된 '한국어' 호감도는 75.4%로 평균을 웃돌았다.

1인당 월평균 소비 시간은 14시간으로 전년보다 2.4시간 늘었고, 드라마(17.5시간), 예능(17시간), 게임(15.4시간)이 주도했다.

드라마는 '오징어 게임'(9.7%)이 4년 연속 1위, '눈물의 여왕'(6.5%)이 2위였고, 영화는 '기생충'(8.3%)이 5년 연속 선두, '부산행'(6.5%)과 '파묘'(4.1%)가 뒤를 이었다.

볼하트 만드는 이민호
배우 이민호가 지난해 12월18일 오후 서울 구로구 더 세인트에서 열린 tvN 새 토일드라마 '별들에게 물어봐' 제작발표회에서 포즈를 취하고 있다.(사진=연합뉴스)


한류스타는 이민호(7.0%)가 12년째 1위를 지켰다.

한류 경험자의 58.9%는 한국산 제품·서비스 구매 의향을 밝혔고, 식품(66.2%)과 관광(64.1%) 선호가 높았다.

연도별, 연령별 한류 부정 인식 공감도.문화체육관광부 제공


한류가 구매에 영향을 준다는 응답은 63.8%로 5.9%포인트 늘었으나, 부정 인식도 37.5%로 4.9%포인트 상승하며 '상업성'(15.0%) 등이 이유로 꼽혔다.

조사는 28개국 2만6천400명을 대상으로 지난해 11월 29일부터 12월 27일까지 진행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