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김정은, 함선건조 현장 시찰.(사진=연합뉴스)
북한이 함경북도 청진항에서 조선소 정비로 의심되는 대규모 공사를 진행하며 군함 생산 능력을 강화하고 있다.
미국의 북한전문매체 38노스는 12일(현지시간) 위성사진 분석을 통해 청진항 공사가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3월 시찰 이후 본격화했다고 밝혔다.
북한의 이러한 군사적 움직임은 한반도 안보를 위협하는 도발 의지를 드러낸다.
38노스는 김정은이 지난 3월 8일 조선중앙통신을 통해 주요 조선소를 시찰했다고 보도된 장소 중 하나가 청진항 조선소로 식별됐다고 전했다.
위성사진에 따르면, 3월 말부터 북한 건설여단이 사용하는 작은 막사들이 청진항에 설치되며 공사가 시작됐다. 항구 전면의 넓은 부지는 정리된 뒤 콘크리트 또는 골재로 덮였으며, 선박 진수로에는 세 개의 플랫폼 구조물이 설치됐다.
부두 지역은 홍수 방지와 보강 공사가 진행 중이다. X에서 청진항 공사가 김정은의 해군력 강화 의도를 드러낸다는 우려가 제기됐다.
38노스는 김정은이 최근 시찰한 신형 군함이 조선소 내 275m 길이의 건조동 남서쪽에 위치하며, 위성사진 분석 결과 길이 143m로 추산된다고 밝혔다.
이는 지난달 25일 남포항에서 진수된 5천t급 신형 구축함 ‘최현호’와 유사한 크기로, 북한의 해군 전력 강화 의지를 보여준다.
38노스는 청진항 공사가 군사적 목적을 띤 조선소 업그레이드의 일환일 가능성이 높다고 분석했다.
김정은의 청진항 공사는 남포항과 더불어 북한 해군의 현대화를 위한 전략적 행보로 평가된다.
38노스는 막사들이 여전히 남아 있는 점을 들어 추가 공사가 예정돼 있다고 밝혔다. 이는 청진항이 군함 생산에서 더 큰 역할을 맡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북한의 군사적 도발은 한반도 안보에 심각한 위협을 초래하며, 국제사회의 면밀한 감시가 요구된다.